정우성이 신종 코로나 여파로 영화 개봉이 연기된 것에 대해 "빨리 안정된 일상을 찾길 바란다"는 마음을 드러냈다.
6일 오전 서울 삼청동 슬로우파크에서는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주연 배우 정우성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감독 김용훈, 제공배급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작 ㈜비에이엔터테인먼트·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은 인생 마지막 기회인 돈 가방을 차지하기 위해 최악의 한탕을 계획하는 평범한 인간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일본 작가 소네 케이스케가 집필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했다.
제49회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한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현지에서 진행된 특별 상영 GV의 전석이 매진되는 등 이목이 집중됐다. 관계자에 따르면, 로테르담 영화제에서 영화를 관람한 해외 유수 영화제 프로그래머들의 잇따른 초청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또, 제34회 스위스 프리부르 국제영화제 장편 경쟁 부문에도 공식 초청되면서 관심을 받고 있다.
정우성은 영화에서 사라진 애인 때문에 사채 빚에 시달리며 한탕의 늪에 빠진 태영을 맡아 열연했다. 어마어마한 빚을 남긴 채 사라져버린 애인으로 인해 마지막 한탕을 계획하는 출입국 관리소 공무원 태영은 빚과 이자를 덜미로 고리대금업자 두만에게 온갖 협박을 받으며 불안한 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던 중,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거액의 돈을 발견하는 캐릭터다.
그는 "우선 시나리오를 보고, 전도연 씨가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 안에서 연희의 존재감이 좋더라. 배우가 작품을 선택할 때 여성 배우가 중심이고 존재감이 큰 영화가 많지 않다. 목마름도 큰 역할을 했다. 어떤 배우로서 욕심보다는 옆에서 태영이라는 역할을 매칭 시켜주면 좋은 밸런스와 볼만한 영화가 나오겠구나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내가 도움을 줄지 민폐가 될지는 모르겠고, 결과가 나와야 봐야 알 것 같다. 연희의 존재감도 있지만 돈가방이 흘러가면서 사람들이 밀도가 있다. 흘러 지나가는 게 아니라 밀도가 있으니까, 그 사람의 선택이 왜 여기까지 왔는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스토리 구성이다. 그런 구성도 좋았다"며 작품을 선택한 이유를 공개했다.
원작 소설보다 훨씬 경쾌해진 태영의 캐릭터에 대해 "선입견이 생길까 봐 일부러 소설을 안 봤다. 그리고 시나리오를 읽었는데 허점이 보이더라. 태영이가 갖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부각시키면 어두운 얘기지만 경쾌한 연민의 대상으로 보일 수 있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지푸라기'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 여파 때문에 개봉일을 연기했다. 당초 12일 개봉하기로 했지만, 제작진은 "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방지하고, 호전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결정을 내렸다. 안전을 우선으로 하기 위해 이와 같은 결정을 하게 됐다"고 알렸다.
이날 인터뷰 현장에 마스크를 챙겨온 정우성은 "한 직업을 갖고 있고, 많은 대중과 공공장소에서 만남이 중요한 일이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일이기 때문에 빨리 안정이 되면 좋겠다. 우리가 안정된 일상을 찾길 희망한다. 그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며 바람을 내비쳤다.
또한, 정우성은 "지금은 영화 흥행을 어느 정도 자신한다기 보다는 완성된 영화를 향한 평가와 이해에 대한 만족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달래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청소년 관람불가 작품으로, 개봉 날짜를 논의 중이다.
/ hsjssu@osen.co.kr
[사진]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