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시리즈 '스위트홈'의 연출을 맡은 이응복 감독이 뜨거운 반응에 대한 소감을 전했다.
이응복 감독은 21일 오전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 인터뷰에서 크리처물에 도전하게 된 계기를 전했다.
'스위트홈'은 은둔형 외톨이 고등학생 현수(송강 분)가 가족을 잃고 이사간 아파트에서 겪는 기괴하고도 충격적인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300억 대작에 대한 부담은 없었냐는 질문에 이응복 감독은 "사실 제작비가 얼마나 들어가는지 몰라서 부담은 덜 됐고 넷플릭스 측에서 부담을 많이 주지는 않았다. 사실 원작 팬들께서도 보시고 납득할 만한 작품들을 만들고 싶어서 그런 것들이 부담이 됐다"고 답했다.
지난 18일 공개된 이후 한국에서 본 적 없던 강렬한 크리처물의 탄생이라는 호평이 쏟아지고 있는 바, 이응복 감독은 "반응을 계속 보고 있다. 관심을 많이 가져주셔서 감사하다. 검색어에 오른 것들은 다 찾아보기는 했는데 반응들이 재미있더라"며 "사실 항상 불만족스러운 부분이 많고 만족스러운 부분도 있는데 만족 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많은 남긴 것 같다. 그런 부분들은 반응을 보면서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에서도 통하는 포인트가 무엇인 것 같냐는 질문에는 "해외에서 통한다는 것은 한국적인 가치가 조금씩은 소통이 되는 것 같아서 고마운 일이다. 전세계 적으로 소통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스위트홈'은 신선한 이야기와 긴박한 서스펜스로 수많은 팬을 양산하며 누적 조회 수 12억 뷰 이상을 기록한 인기 웹툰 '스위트홈'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으로, 평범한 사람이 마음속 깊이 간직했던 욕망이 표출된 괴물로 변한다는 흥미로운 소재와 괴물들의 강렬한 비주얼, 긴장감 넘치는 전개로 큰 사랑을 받았다. 이에 드라마화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팬들은 폭발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이 감독은 "크리처물에 도전하게 된 계기는 원작 자체가 훌륭하기 때문에 감동이었다. 몰입감이 최고였고 최대한 다른 차원에서 시도를 하고 싶었다. 크리처물 뿐만이아니라 한국 드라마의 다른 차원을 제시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이어 "욕망으로 인해 괴물이 된다는 발상 자체가 창의적이었고 그런 부분들을 많이 영상을 통해 살리고 싶었고, 차별화 시키고 싶었던 것은 세계관을 확장시켜서 인간 대 인간으로 괴물성이 나오는 부분들을 포착하고 싶었다. 인간을 따뜻하게 보는 시선을 가미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크리처물을 즐기지는 않는다는 그는 "크리처물을 잘 보지 않는 사람이었는데 소재 확장 차원에서 판타지 물로 생각하면서 접근하게 됐고 저도 징그러워서 크리처물을 보지 못했는데 저 스스로도 소재 확장을 할 수 있어서 스스로도 그런 부분에서 성과가 있는 것 같다"며 "인간적인 부분을 그려보고 싶었고 거창한 주제는 아니지만 문제 의식을 던져주는 것, 이야기를 공론화 시킬 수 있는 것을 드라마가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다른 아포칼리스물과의 차별점을 묻자 "저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가족에 대한 가치나 우정 같은 가치들이 발현돼서 괴물과 싸우는데 발현이 되면 반응이 어떨까 궁금했다. 괴물이라는 것은 실재하지 않는 것인데 인간 안에 있는 괴물성들, 시선들에 대해 고민했고, 그런 것이 다른 아포칼립스물과 다른 한국적인 것이 있지 않나 싶다"고 밝혔다.
이어 "다른 작품들을 참고를 많이 하지는 않았고 크리처물은 아니지만 인간과 인간의 싸움이 재미있어서 '워킹데드' 같은 작품을 많이 찾아본 것 같다"고 전했다. /mk3244@osen.co.kr
[사진] 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