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철인왕후’와 ‘조선구마사’로 연이어 역사왜곡 논란을 일으킨 박계옥 작가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두 번은 참지 않는 누리꾼들 때문이다.
‘조선구마사’ 측은 22일 첫 방송 이후 연일 계속된 역사왜곡 지적에 결국 26일 폐지를 발표했다. 이미 SBS는 방영권료 대부분을 선지급했고, 제작사는 80% 촬영을 마친 상황이지만 전 국민에게 번지고 있는 반감 때문에 폐지를 선택했다.
이 때문에 박계옥 작가를 향한 비난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미 지난해 집필한 전작 ‘철인왕후’를 통해 조선왕조실록을 ‘지라시’라고 표현하는가 하면 실존 인물인 신정왕후를 저속하게 묘사해 풍양 조씨 종친회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했다.
‘조선구마사’에서는 서역신부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신에서 중국 음식인 월병, 피단, 중국 술, 감자 등이 등장했고 양녕대군(박성훈 분)이 중국 검을 쓰는 내용 등이 논란이 됐다. 태종(김영철 분)이 자신의 고향인 함주성에서 백성을 살육한다는 설정 역시 역사적 사실과 크게 어긋났다.
특히 연변 말을 쓰는 잉춘(민진웅 분)이 최영 장군을 비하하는 대사, 중국이 우리보다 먼저 세계 인류무형문화재로 등재한 농악무를 추는 신 등을 보며 시청자들은 작가의 사상에 물음표를 던졌다. 두 작품 연달아 친중 성향적 역사왜곡 스토리가 등장해 가뜩이나 예민한 시기에 불을 지핀 셈.

급기야 박계옥 작가가 조선족 아니냐는 의심까지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이에 한 관계자는 OSEN에 "박계옥 작가가 조선족이라는 관련 루머는 절대 사실이 아니다. 말도 안 되는 억지”라며 “조선족은 물론 중국계도 아니며, 중국에 살지도 않는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닥터프리즈너’, ‘댄서의 순정’, ‘카인과 아벨’ 등 그의 전작에 조선족 캐릭터가 등장했던 점, ’리틀 차이나’ 작품을 준비했으나 무산된 점, 추후 ‘중국식 출장 연애’, ‘안응칠 연대기’를 집필하겠다며 저작권을 등록한 상황 등을 우려하는 누리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비록 ‘철인왕후’는 역사왜곡 논란에도 최고 시청률 17%대를 넘어서며 인기리에 종영했다. 하지만 재밌으면 된다는 안일함은 두 번 통하지 않았다. 박계옥 작가는 방송 2회 만에 폐지라는 쓴맛을 보게 됐고 방송사 퇴출 위기에 맞닥뜨렸다.
박계옥 작가와 집필 계약을 했던 쟈핑코리아 측은 25일 “박계옥 작가는 쟈핑코리아의 소속 작가가 아닌, 향후 기획하고 있는 현대극에 대한 '집필만을 단건으로 계약'한 것”이라면서도 “'조선구마사'와는 어떠한 관계도 없으나 집필 계약을 전면으로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선을 그었다.
/comet568@osen.co.kr
[사진] 조선구마사, 철인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