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도 도쿄올림픽 개최를 강행하고 있는 가운데 관중 수용 방안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30일 일본 '겐다이'는 "일본 정부와 대회조직위원회가 무관중이 아니라 유관중 올림픽을 치르려는 이유 중 하나는 스폰서 때문"이라면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올림픽의 1년 연기를 고집한 것이 근본적인 문제가 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지난 28일 기자회견에서 올림픽 관중 수용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프로야구, 프로축구 등 일본 내 스포츠가 관중을 입장시키고 있다는 점을 든 것이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1/05/31/202105311650770685_60b4963fbd7c5.jpg)
이에 '겐다이'는 "올림픽은 야구나 축구와 규모가 전혀 다르다"면서 "개최할 경우 최소한 관람객은 필수겠지만 유관중에 집착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매체는 대회 관계자의 말을 인용, 무관중 올림픽은 대회 스폰서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강조했다.
실제 대회관계자는 "올림픽을 관중 없이 치르면 900억 엔(약 9100억 원)의 입장료 수입이 사라져 부담이 될 수 있다. 정부는 부담을 피하고 싶겠지만 대회 스폰서의 의지도 그 이상으로 크다. 무관중이 되면 후원사는 경기 관전을 위한 '우대티켓'을 잃게 된다. 통상 스폰서는 거래처 간부 등에게 '티켓'을 제공, '가족들과 함께하세요'라고 권유해 후의 비즈니스로 연결한다. 스폰서에게 이 기회를 잃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 가슴 아프다"라고 말했다.
이 매체는 "유관중에 대한 고집이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지만 지금 스폰서와 조직위의 비판의 화살은 유관중 기회를 날려 버린 아베 전 총리를 향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베 전 총리는 지난해 3월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전화회담에서 올림픽 개최를 1년 연기한다고 결정했다.
당시 모리 요시로 조직위원장은 2년 연기를 제안했으나 아베 전 총리는 자신의 임기 중 올림픽 개최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결국 코로나19 사태가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정치적 욕심을 부린 것이 문제가 됐다. 정작 아베 전 총리 자신은 지난해 8월 지병 재발을 이유로 갑작스럽게 퇴진했다.
이 매체는 "처음부터 코로나 수습에 나서고 올림픽을 2년 연기했다면 완전한 형태로 개최도 가능했을지 모른다. 조직위도 코로나 대책을 이렇게 고민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라는 대회 관계자의 말을 인용, "스폰서의 뜻 때문에 '유관중'을 강행해도 되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기사를 마쳤다. /letmeout@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