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 재확산 속에서도 도쿄올림픽 강행 의지를 꺾지 않고 있는 일본 정부에 대해 자국 의료 전문가들도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마쓰모토 데쓰야 국제의료복지대학교 감염학 교수는 14일 일본 '지지통신'과 인터뷰에서 '델타 변이, 올림픽, 여름 방학 등 감염이 확대되기 쉬운 조건이 되는 만큼 오사카에서 긴급사태가 발령됐던 상황이 도쿄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본은 지난 12일부터 도쿄도를 비롯해 긴급사태 재발령을 선포했다. 벌써 4번째. 도쿄에 하루 신규 감염자 수가 급증했기 때문이었다. 일본의 전문가들은 하루 확진자 수가 2000명"도 넘을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1/07/14/202107142004773779_60eec5d9b21e6.jpg)
마쓰모토 교수는 "긴급사태 선언 하에서의 올림픽 개최가 기본적으로 모순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살얼음을 밟으며 개최하는 대회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마쓰모토 교수는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예상해 검토하고 준비해 둘 필요가 있지만 남은 시간이 없다"고 염려했다.
그는 "일본에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고령자나 산소가 필요한 중증증자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간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큰 상태다. 중증자 수 만으로 의료진의 압박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과소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쓰모토 교수는 기대되는 것으로 "백신 접종의 추가 확대"라고 했다. 하지만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내세우는 대책에 대한 신뢰와 개개인의 행동변화가 필요하지만 긴급사태가 만연하고 중점 조치가 반복돼도 납득할 수 있는 설명이 없다. 오히려 반발이나 거부감이 눈에 띈다"고 일본 정부에 대한 신뢰 부족을 아쉬워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정부는 개인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국민에게 직접 와닿는 메시지를 내놓아야 한다. 대책에 필요한 금전적 보상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유효한 감염 대책의 구체안을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letmeout@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