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이 미래 먹거리를 위한 신규 핵심 프로젝트 7종을 발표했다. 슈퍼 IP(지식재산권) 육성에 나선 넥슨은 회사의 성장을 위해 하반기 부터 1000명 이상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5일 넥슨은 온라인으로 ‘넥슨 뉴 프로젝트: 미디어 쇼에키스’를 열고 신규 개발 프로젝트와 경영 목표를 발표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이정헌 대표이사가 참석해 향후 경영 목표, 신규 개발 프로젝트 7종, 넥슨의 서브 브랜드 ‘프로젝트 얼리스테이지’, ‘프로젝트 MOD’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영상 등을 소개했다.
넥슨은 지난해 여러 모바일 신작과 라이브게임의 흥행을 이끌며 국내 게임회사 최초로 연간 실적 3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 초 전 직원 연봉 인상 스타트를 끊으며 보상 체계를 강화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프로젝트를 정비하는 등 내실 다지기에 주력해왔다.

이정헌 대표는 “앞으로 넥슨을 책임질 새로운 슈퍼 IP(지식재산권) 10종 이상을 개발∙육성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과감한 투자에 집중할 계획이다”며 현재 넥슨이 보유한 주요 IP를 이을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또한 “회사의 새로운 혁신과 성장을 위해 올 하반기부터 2022년까지 10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온라인 쇼케이스의 핵심은 ‘프로젝트 매그넘’ ‘마비노기 모바일’ ‘프로젝트 HP’ 등을 비롯한 핵심 프로젝트 7종이었다. 먼저 넥슨은 넷게임즈 박용현 사단이 개발 중인 ‘루트슈터’ 장르의 PC-콘솔 기반 게임 ‘프로젝트 매그넘’의 영상을 최초 공개했다. 3인칭 슈터 전투에 넷게임즈의 RPG 노하우를 집약해 선보이는 신작으로 국내 및 글로벌 동시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넥슨은 독립 법인 출범 후 확대된 리소스를 투입해 원작 ‘마비노기’의 감성을 살려 개발 중인 데브캣의 ‘마비노기 모바일’ 영상도 공개했다. 이와 함께 ‘던전앤파이터’ IP를 기반으로 새롭게 선보이는 3D 액션RPG ‘프로젝트 오버킬’의 게임 소개와 신규 영상 상영이 이어졌다.

넥슨은 신규개발본부의 개발 모토인 ‘Big & Little’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대형 프로젝트 4종인 ‘프로젝트 ER’ ‘프로젝트 SF2’ ‘테일즈위버M’ ‘프로젝트 HP’도 공개했다. 특히 이은석 디렉터의 차기작 ‘프로젝트 HP’는 오는 8일까지 프리 알파 테스트에 돌입한다. ‘프로젝트 HP’는 30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근거리에서 맞붙는 백병전 PVP 게임이다.
미지막으로 넥슨은 서브 브랜드 ‘프로젝트 얼리스테이지’를 최초로 공개했다. ‘프로젝트 얼리스테이지’는 기존의 경험과 관습,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색다른 시도를 소규모로 민첩하게 진행하기 위해 기획했다. 얼리스테이지의 빌드를 시장에 빠르게 선보여 유저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의견을 수렴해 나가며 엣지있는 타이틀을 함께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프로젝트 얼리스테이지’의 타이틀로는 신비한 블루홀을 탐험하는 해양 어드벤처 게임 ‘DR’과 빠른 템포의 전투와 스타일리시한 액션을 앞세운 대전 액션 게임 ‘P2’ 동료들과 중세 판타지 던전을 모험하는 ‘P3’를 선보일 예정이다.
넥슨 이정헌 대표는 “많은 유저들의 기대를 뛰어넘는 완성도 높은 게임을 선보이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넥슨에서 공개할 새로운 프로젝트들에 대해 계속해서 많은 관심을 부탁 드린다”고 전했다. /lisco@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