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극장 상황은 코로나19가 발발한 지난해와 또 다르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2021년 상반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체 관객수는 2002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2%(1239만 명↓) 감소했다. 이는 2004년 이후 역대 최저치.
또한 올 상반기 전체 매출액은 18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875억 원↓) 하락했다. 이는 2005년 기록 이후 역대 가장 낮은 수치다.
한국영화(외화 제외) 관객수만 따지면, 상반기에 총 382만 명이 극장을 찾았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9%(1617만 명↓)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3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8%(1361억 원↓) 떨어졌다.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지난해에 비해 42.6%p 감소한 19.1%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시작된 코로나 3차 대유행 여파로 규모 있는 한국영화의 개봉이 줄면서 전년 동기 대비 한국영화 관객수와 매출액이 감소한 것이다.
올 상반기 한국영화를 찾은 관객들이 줄어든 가운데, 코로나 4차 대유행 영향권에 들어가면서 극장가에 또 한번 악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12일부터 실시된 코로나 4차 대유행이라는 복병을 만나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나마 ‘모가디슈’(감독 류승완)가 선전하고 있지만 예년에 비해 관객 증가 속도가 더디다. 이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약 300만 명이다.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자,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조치를 2주간(~8월22일) 재연장키로 했다. 이로써 여름 성수기에 무려 6주나 가장 강력한 방역조치가 적용된 셈인데, 이 시기에 올 여름 텐트폴 영화 2편이 개봉했고 2편이 개봉을 앞두고 있다.
벼랑 끝에 몰린 한국 영화계, 영화인들의 걱정과 고통을 가중시키는 현실이지만 관객들에게 영화적 재미를 선사하고 싶다는 절박한 의지가 느껴진다.
지난 7월 28일 ‘모가디슈’와 ‘방법: 재차의’(감독 김용완)가 개봉했고 이달 11일에는 재난버스터 ‘싱크홀’(감독 김지훈)이, 18일엔 범죄 액션 ‘인질’(감독 필감성)이 관객들을 만난다.
백신을 맞아도 돌파감염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에서 관객들의 방심은 금물이지만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거리두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잘 지킨다면 극장이 결코 위험한 장소는 아니다. 어려운 시기에 관객들의 관심이 절실하다.

# 반드시 극장에서 봐야 할 ‘모가디슈’
줄거리: 주 소말리아 한국대사 한신성(김윤석 분)은 서기관 공수철(정만식 분), 사무원 박지은(박경혜 분)과 함께 소말리아 모가디슈 소재 대학 행사에 참석하며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한국은 UN 회원국이 돼야 국제사회에서 정상적인 국가로 활동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남한의 UN 단독 가입을 추진한다. 그러나 북한은 통일 후 단독 국가로 가입해야 하니 남한의 단독 가입은 반대한다는 주장을 낸다. 이에 안기부 출신 강대진 참사관(조인성 분)은 한국의 UN 가입 유치를 위해 한 대사의 지원군으로 급하게 파견된다. '표밭'에서 치열하게 로비전을 펼치던 한신성과 강대진은 소말리아 대통령과 친분을 쌓기 위해 면담을 신청하는데, 그 사이 북한 대사 림용수(허준호 분)와 참사관 태준기(구교환 분)가 환심 사기용 정치 이벤트를 펼친 것을 목격하고 반기를 든다.

한편 장기 집권하는 바레 정권에 대한 불만에 가득 찬 모가디슈 시민들은 아이디드 장군을 중심으로 뭉쳐 내전을 일으킨다. 수도까지 전쟁을 방불케 하는 상황이 이어지자, 각국 대사들은 하나둘씩 소말리아를 떠나고 식량, 전기, 통신 등 일상적 자원까지 끊겨 목숨을 위협받는 상황에 놓인다. 갈등했던 북한 대사와 대사관 직원들이 남한에 구조를 요청하면서 긴장이 감도는 탈출 동행이 시작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모가디슈’(배급 롯데엔터테인먼트, 제작 덱스터스튜디오 외유내강)는 1990년 12월~1991년 1월 모가디슈 내전으로 인해 고립됐던 사람들의 생사를 건 탈출기를 담은 액션 드라마. 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십여 명의 북한 공관원을 이끌고 탈출했던 주 소말리아 한국 대사의 사연에 영화적 재미와 상상을 더해 만들었다. 영화의 바탕에는 이념 대결이 아닌, 보편적 인류애가 깔려있다.
정부군과 반군의 치열한 총격전이 벌어진 골목길에서 남북한 사람들이 여러 장애물을 넘고, 살기 위해 돌진하는 시퀀스는 짜릿한 전개로 스릴을 안긴다. ‘모가디슈’ 표 액션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후반 카체이싱은 국내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쾌감을 선사한다. 러닝타임 121분.
/ purplish@osen.co.kr
[사진] 영화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