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승원→김재화 '싱크홀', 코로나 시국에 만난 재난버스터 [코로나 4차 유행 속 대개봉③]
OSEN 김보라 기자
발행 2021.08.08 12: 30

 올해 극장 상황은 코로나19가 발발한 지난해와 또 다르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2021년 상반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체 관객수는 2002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2%(1239만 명↓) 감소했다. 이는 2004년 이후 역대 최저치.
또한 올 상반기 전체 매출액은 18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875억 원↓) 하락했다. 이는 2005년 기록 이후 역대 가장 낮은 수치다. 

한국영화(외화 제외) 관객수만 따지면, 상반기에 총 382만 명이 극장을 찾았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9%(1617만 명↓)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3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8%(1361억 원↓) 떨어졌다.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지난해에 비해 42.6%p 감소한 19.1%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시작된 코로나 3차 대유행 여파로 규모 있는 한국영화의 개봉이 줄면서 전년 동기 대비 한국영화 관객수와 매출액이 감소한 것이다.
올 상반기 한국영화를 찾은 관객들이 줄어든 가운데, 코로나 4차 대유행 영향권에 들어가면서 극장가에 또 한번 악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12일부터 실시된 코로나 4차 대유행이라는 복병을 만나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나마 ‘모가디슈’(감독 류승완)가 선전하고 있지만 예년에 비해 관객 증가 속도가 더디다.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자,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조치를 2주간(~8월22일) 재연장키로 했다. 이로써 여름 성수기에 무려 6주나 가장 강력한 방역조치가 적용된 셈인데, 이 시기에 올 여름 텐트폴 영화 2편이 개봉했고 2편이 개봉을 앞두고 있다.
벼랑 끝에 몰린 한국 영화계, 영화인들의 걱정과 고통을 가중시키는 현실이지만 관객들에게 영화적 재미를 선사하고 싶다는 절박한 의지가 느껴진다. 
지난 7월 28일 ‘모가디슈’와 ‘방법: 재차의’(감독 김용완)가 개봉했고 이달 11일에는 재난버스터 ‘싱크홀’(감독 김지훈)이, 18일엔 범죄 액션 ‘인질’(감독 필감성)이 관객들을 만난다.
백신을 맞아도 돌파감염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에서 관객들의 방심은 금물이지만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거리두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잘 지킨다면 극장이 결코 위험한 장소는 아니다. 어려운 시기에 관객들의 관심이 절실하다.  
영화 스틸사진
#코로나 시국에 만난 재난버스터 ‘싱크홀’ 
줄거리: 상경해 무려 11년 만에 자가를 소유하는 데 성공한 동원(김성균 분). 그의 아내 영이(권소현 분)와 한푼이라도 더 아끼고 절약하며 살아온 결과다. 동원네 가족은 이사 하는 날 비가 오면 잘산다는 이웃들의 환영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새 집 생활을 시작하는데, 같은 빌라에 사는 주민 만수(차승원 분)와 첫날부터 얼굴을 붉힌다.
티격태격 하던 만수와 동원은 유리문이 깨지거나 물이 잘 안 나오는 등 일상에서 사소하지 않은 불편을 겪자 부실공사를 의심하고, 주민들과 합심해 보상받을 계획을 세운다. 그러다 동원의 집들이 파티 이후 대형사고가 벌어진다. 동원과 만수, 집들이에 초대됐던 김 대리(이광수 분), 인턴사원 은주(김혜준 분)까지 이들이 예기치못한 사고에 휘말리며 지하 500m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사투를 벌인다.
영화 스틸사진
‘타워’(2012) 김지훈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싱크홀’(제공배급 쇼박스, 제작 더타워픽쳐스)은 5개월간 빌라 및 동네 편의시설 등 20여 채의 건물을 직접 지어 대규모 세트를 완성했다. 그리고 싱크홀 발생 이후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지하 500m 지반의 모습을 닮은 대규모 암벽 세트도 지었다. 초반엔 캐릭터들을 소개하며 웃음을 주더니, 땅이 그대로 가라앉아 큰 구멍이 생기는 싱크홀 발생 이후부터 긴장감이 조성된다.
성격과 직업, 처지가 다른 평범한 인물들이 살아남겠다는 일념 하에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싱크홀’의 관전 포인트다. ‘싱크홀’은 코로나라는 재난을 겪고 있는 우리네 현실에서 시의성이 높은 작품이다. 인간이 상대하지 못할 거대한 위기를 만났지만, 힘을 합치고 맞서 싸워 극복하려는 보통 사람들의 영웅적 면모를 부각했다. 그러나 ‘타워’처럼 시종일관 심각하고 눈물샘을 자극하는 재난영화는 아니다. 적절히 유머를 섞어 진지하게 흘러가는 것을 경계했다. 오버하지 않고 웃기는 배우 김재화의 코믹 연기가 돋보인다. 러닝타임 117분.
/ purplish@osen.co.kr
[사진] 영화 포스터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