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정해인, 구교환, 김성균, 손석구가 특별한 군인 ‘디피’로 돌아왔다. 웃음과 감동과 사회적인 메시지가 담은 ‘디피’를 통해 어떤 매력을 보여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25일 오전 온라인 생중계 된 넷플릭스 ‘D.P.(이하 디피)’ 제작발표회에 정해인, 구교환, 김성균, 손석구, 한준희 감독이 참석했다.
디피는 탈영병들을 잡는 군무 이탈 체포조(D.P.) 준호와 호열이 다양한 사연을 가진 이들을 쫓으며 미처 알지 못했던 현실을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다.
이날 제작발표회는 군대 내무반으로 꾸며진 세트장에서 진행됐다. 김성균은 “전역한지 20년이 넘었다”라고 말했다. 손석구는 “청소상태도 좋고 마음에 든다”라고 밝혔다.
정해인은 ‘디피’ 촬영을 하면서 재입대를 한 기분을 떠올렸다. 정해인은 “제작진이 세트장을 극사실적으로 만들어주셔서 들어서는 순간 소름이 돋았다. 전투복을 입고 내무반에 들어가니까 아찔했던 기억이 떠올랐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긴장을 해서 ‘이병 정해인’이라고 대답을 해서 NG가 났다”라고 덧붙였다.
드라마의 제목인 디피는 군무이탈체포조를 뜻하는 말이다. 정해인은 “군인으로 안 보일 수도 있다. 사복을 입고 군 부대 밖으로 다닌다. 머리도 기르고 염색도 하고 선글라스도 쓴다”라고 전했다.
한준희 감독이전한 ‘디피’는 성장담이다. 한준희 감독은 “탈영병들의 사연과 그 사연들을 쫓으면서 무언가를 깨닫고 성장해가는 준호와 호열의 인물을 그리는 이야기다”라고 요약했다.
‘디피’는 누적 조회수 천만 뷰 이상을 기록한 웹툰 원작이다. 한준희 감독은 “첫 작품을 만든 이후에 긴 시간동안 하고 싶었다. 6년간 이 원작을 하고 싶었다. 20대 초반의 청년들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사회적인 함의를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원작과 드라마는 차이점도 있었다. 한 감독은 “이 작품이 많은 사람들이 처음부터 같이 진입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안준호라는 청년이 입대하고 훈련을 받고 디피가 되는 과정을 함께 겪기를 바랐다. 그래서 이병으로 각색으로 했다”라고 밝혔다.
구교환과 손석구는 웹툰에 등장하지 않는 새로운 캐릭터다. 구교환은 정해인과 호흡을 맞춰서 디피로 활동하고, 손석구는 임지섭 대위로 합류했다.
정해인은 ‘디피’ 대본에 흠뻑 빠졌다. 정해인은 “만화책 보듯이 봤다. 페이지를 넘기면서 모습을 상상하면서 읽었다. 구체적으로 그려지면서 재미있게 봤다. 다양한 캐릭터들이 있어서 빠져들었다”라고 했다. 손석구 역시 “군대에 다녀왔기 때문에 현실적인 부분이 있어서 확 빠져들었다. 그래서 하고 싶었다. 배우로서 현장을 가면 군대랑 비슷하다는 생각했다. 전우애가 쌓인다. 군인을 연기하니까 전우애가 제곱이 됐다”라고 이유를 언급했다.
‘디피’의 현장 분위기는 참 좋았다. 김성균은 “친구들끼리 노는 느낌이었다. 허물없는 사이였다. 초등학교 시절에 별 것 아닌 이야기를 하면서 웃으면서 보내는 그런 사이가 됐다”라고 했다. 구교환은 “배우들과 유대도 있지만 제작진과 한 마음이 됐던 순간도 있다. 다들 끈끈하게 지냈다”라고 설명했다. 정해인 역시 “오랫동안 알고 지낸 형들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다. 작품이 끝나도 만나고 싶고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랜만에 만나도 편해서 좋았다”라고 촬영장을 떠올렸다.
정해인이 연기한 안준호는 복싱을 했던 경력이 있는 캐릭터였다. 정해인은 “복싱을 기대해도 좋다”라며 “감독이 원테이크로 하는 것을 원했다. 대역이 들어갈 커트가 없었다. 그래서 연습을 정말 열심히 했다. 이준영 배우가 나와서 구슬땀 흘리면서 했다”라고 예고했다.

정해인은 안주호 캐릭터에 몰입할 요소가 많다고 전했다. 정해인은 “준호가 사회에서 군대로 들어가는 과정이 디테일하게 나와있다. 보시면서 같이 이입햇으면 좋겠다. 감독님과도 많은 고민을 나누면서 촬영했다. 1화에서 입대하는 장면과 가족들과 헤어지는 장면과 훈련소에서 장면들이 나온다. ‘나도 저랬었지’ 공감하는 모습들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해인은 김성균, 구교환, 손석구 등으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김성균은 정해인에게 밥을 사주고 싶다고 했고, 구교환은 또 다시 촬영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손석구는 “정해인과 구교환의 조합이 기대가 된다. 빨리 보고 싶다”라고 표현했다.
정해인과 구교환은 탁월한 애드리브를 선보였다. 정해인은 “촬영장에서 웃음을 터지면 못참는 편인데, 웃음을 참기 힘들었다. 어느 장면에서 상황과 딱 맞아 떨어지는 애드리브를 한다. 기가막힌 애드리브였다. 계속 받다가 삐끗한 적이 있어서 그때 터졌다. 배가 아플 정도로 웃었다”라고 했다.
정해인은 김성균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정해인은 “현장에서 중심을 잘 잡아주고 편안하게 만들어줬다. 그것을 티를 내진 않는다. 그래서 툭툭 하나씩 챙겨준다. 웃음이 많은 편이다. 처음에 다가갈 때 어려웠다. 편한 형처럼 분위기를 만들어줬다”라고 고마움을 전했다.

김성균과 손석구는 ‘디피’ 내에서 서로 앙숙이자 라이벌로 등장했다. 손석구는 “’디피’는 정말 잘하고 싶었다. 병사 출신인데, 장교를 연기해야 했다. 제가 병사로 복무할 때, 만났던 소대장을 자주 찾아가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 감독님도 제가 알아본 정보를 알아서 해라라고 다 허락해주셨다. 소대장에게 고맙다고 말하고 싶다”라고 준비 과정을 발혔다.
한준희 감독과 손석구는 전작 ‘뺑반’에 이어서 ‘디피’에도 만났다. 손석구는 “대본이 있지만 그 이상으로 놀게 해주는 분이다. 감독님이 언제든 부르면 간다”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한준희 감독은 원작의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겼다. 한 감독은 “원작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함의가 중요했다. 원작은 건조하고 다크하고 깊이가 있다. 깊이는 유지하되 확장성을 고민했다. 이 작품이 휴먼 드라마, 사회드라마 김보통 작가의 결을 이식할 수 있을까가 가장 중요했다”라고 설명했다.
정해인은 원작과 다른 준호를 연기해야했다. 정해인은 “상병이 아닌 이병을 연기해야 했다. 그래서 달라진 것들이 많다. 원작에서 더 보고 싶고 궁금햇던 것들이 나온다. 그래서 프리퀄 같은 느낌이 있다. 일병이 되고 상병이되고 병장이 되는 과정이 어떻게 그려나갈지 저도 궁금하다”라고 말했다.
정해인과 구교환은 ‘디피’에서 콤비로 호흡을 맞췄다. 정해인은 “눈만 봐도 무슨 생각인지 알 수 있을 정도였다”라고 말했다. 구교환 역시 “저 역시도 마찬가지다. 눈만봐도 알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다”라고 했다.
'D.P.'(디피)는 오직 넷플릭스에서 오는 27일 최초로 공개된다./pps2014@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