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집’ 양택조가 간경화 투병 당시 상황을 전했다.
6일 방송된 TV조선 ‘건강한 집’에는 83세 양택조가 출연, 건강을 유지하는 비법을 공개했다.
이날 양택조는 간이식을 해준 첫째 아들에 대한 고마움을 전했다. 그는 “간경화 진단 받고 다 포기했다. 그러니까 마음이 차분해졌다. 얼마 못 산다고 생각하니 술이 더 잘 들어갔고 많이 마셨다”고 말했다.
이어 “아들이 간을 준다고 했는데 안 받는다고 했다. 나는 살 만큼 살았는데 아들한테 폐끼치기가 싫었다. 그런데 아들이 간을 줘도 회복이 된다고 해서 생각을 달리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간을 받기로 결심한 이후에도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았다. 병원에 입원해서도 퇴원하려고 했는데 아들이 설득했다”고 말했다.
그는 수술 끝나고 든 생각도 솔직하게 털어놨다. “마취할 때 속으로 세상과 작별 인사를 했다. 눈을 뜨니 살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고 나서 옆을 보니 아들이 웃고 있었다”고 말했다.

양택조는 저녁으로 애호박 새우젓 찌개, 채소 고기 볶음을 직접 만들었다. 그는 저녁 먹을 생채소와 익힌 채소로 허기를 먼저 달랜다고. “그래야 허겁지겁 먹지 않는다.”고 말했다. 양택조는 저녁 식사 후 여주로 만든 건강 음료를 마셨다.
양택조의 공복 혈당 수치는 102, 정상 범위에 살짝 벗어나는 수치였고 식후 1시간 뒤 혈당 수치는 160이었다.
김태균은 “혈당은 젊었을때부터 관리해야 한다. 우리나라 당뇨 위험인구는 1440만명으로 30세 이상 3명 중 1명은 당뇨병이거나 당뇨 고위험군이라는 통계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은 본인이 당뇨병인지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가 있다. 병원 검진때는 대부분 공복혈당을 측정하기 때문. 공복혈당만으로는 정확한 당뇨 진단이 어렵다. 건강 검진에서 놓치는 당뇨병 환자가 200만명이 넘는다는 통계가 있다”고 말했다.

한의사 이경희는 “높은 혈당은 미세현관을 막고 전신 혈액순환 장애를 유발한다. 당뇨가 까장 무서운 이유는 합병증이다. 혈액속 과도한 당분이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 그 염증이 전신의 조직과 장기를 침범한다. 당뇨 환자의 15% 발 궤양을 앓고 있고 그 중의 일부는 절단할 정도로 악화된다."고 말했다.
이어 "잇몸뼈가 녹아내려 치아 상실 가능성도 높다.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은 신장과 망막에 나타난다. 신장 투석을 받아야 할 수도 있고 실명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심각성을 전했다.
김태균은 “식후 1시간 혈당을 재는 것을 추천한다. 췌장의 기능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식 섭취 후 1~2시간 사이 혈당이 최고점을 찍는다. 식후 1시간 뒤 혈당이 높다면 췌장의 인슐린 분비가 잘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혈당이 높으면 급격한 인슐린 분비로 췌장의 부담이 커진다. 상황이 지속될 경우 당뇨병으로 발전될 수 있다. 식후 1시간 혈당이 160 이상이면 숨은 당뇨를 의심, 생활습관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전했다.
/ys24@osen.co.kr
[사진] TV조선 ‘건강한 집’ 캡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