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위메이드는 그 어느 해보다 바쁜 시기를 보내고 있다. 그 동안 꾸준하게 게임 개발과 블록체인 신사업에 집중해 온 결과가 하나씩 결실을 맺고 있다. 최근 2021년 2분기 실적은 지난해 출시한 '미르4'의 견고한 성장세에 힘입어 매출 약 690억원, 영업이익 약 270억원, 당기순이익 약 19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약 175% 급등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특히, 상반기 누적 매출의 경우 약 1450억원으로 전년도 연간 매출인 약 1260억원을 이미 넘어선 수치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위메이드는 기존 사업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한편, 2021년 하반기 '미르4'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으로 미래의 더 큰 성장을 위해 글로벌 시장 확장, 신규 게임개발, 블록체인, 메타버스 사업 집중 투자 등을 통해 사업 안정성을 갖춰 나갈 계획이다.

눈에 띄는 점 중 하나가 바로 블록체인과 NFC(대체불가코인) 기술 등을 결합한 게임 '미르4'다.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미르4'는 지난해 국내에 선 출시되어 누적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며 큰 성공을 거뒀으며 글로벌 버전은 기존 콘텐츠에 가상화폐 코인 획득 및 환급성까지 더해져 출시 전부터 시장에 큰 기대를 모았다.
'미르4'의 글로벌 버전은 지난 8월 26일 구글과 애플, 스팀 등을 통해 170여개국에 정식 출시했다.
무협 K판타지 세계를 알린 '미르4'는 지난해 11월 국내 출시 직후 구글플레이 스토어, 앱스토어 등 한국 주요 앱 마켓 인기 순위 1위와 매출 최상위권을 기록한 위메이드의 대표 흥행작이다.
미르4 글로벌 버전은 블록체인 기반 유틸리티 코인 드레이코(DRACO)와 NFT을 지원하는 게 국내 버전과 다른 가장 큰 특징이다.
게임 내 핵심 재화인 흑철을 토큰화한 드레이코(DRACO)가 위믹스 기반으로 발행된다. 드레이코는 위믹스 월렛 내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거래할 수 있다. 특이할 만한 점은 드레이코에 더비(Derby:Daily Exchange Rate By Yield)라는 개념이 적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더비는 드레이코를 흑철로 교환할 때 드레이코를 제련하기 위해 사용된 10만 흑철에 더해 교환 전일까지의 게임 내 누적 흑철 채굴량의 10억분의 1에 해당하는 이자를 플러스로 지급하는 교환 비율이다.
흑철을 드레이코로 제련해 거래하고 이를 다시 흑철로 교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을 반영한 이자 개념을 더함으로써 유저의 보유 가치를 제고하고 새로운 토큰 이코노미를 만들어낸다. 메타버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통화와 이를 뒷받침하는 이자와 배당을 구현하겠다는 실험이다. 즉, 유틸리티 토큰 ‘드레이코’로 인게임 경제와 현실 경제 간 유기적인 연결까지 고려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발전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르4'의 캐릭터에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 기술이 적용됐다. 유저는 캐릭터를 NFT화해 위믹스 월렛의 NFT 마켓에서 거래할 수 있다.
글로벌 출시 이후 꾸준하게 서버를 늘려 현재 약 90여개 넘게 운영 중이며 스팀 동시 접속자도 최대 약4만명을 상회하는 등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스팀 순위에서도 종합 실시간 순위 15위, MMORPG부분 실시간 순위 2위에 오르는 등 상위권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향후 성과에도 주목이 된다.
이와 함께 '미르4' 중국 출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내 다양한 파트너사와 지속적인 협상을 진행 중이며 최적의 파트너사와 계약을 하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미르4'의 중국 출시까지 더해지면 글로벌 IP로써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개발 자회사 위메이드엠에서 개발하고 있는 '미르M'도 연내 공개를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온라인게임 '미르의 전설2'를 모바일로 완벽하게 복원한. '미르M'은 새로운 미르의 탄생과 함께 한국과 중국 시장에서 새로운 ‘미르 신드롬’을 불러일으킬 위메이드표 최고 기대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 scrapper@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