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플러스가 오는 11월 드디어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다. 막강한 기존 작품과 한국 콘텐츠를 앞세워 OTT 시장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 지 기대되고 있다.
14일 오전과 오후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디즈니+ 코리아 미디어데이 및 APAC 콘텐츠' 쇼케이스가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오는 11월 12일 글로벌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OTT) 디즈니+(디즈니플러스)의 국내 출시를 앞두고 이뤄졌다. 디즈니 플러스의 서비스 및 국내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했으며, 다양한 콘텐츠 라인업과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등을 공개했다.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오상호 대표는 "디즈니 플러스는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디즈니 핵심 브랜드의 영화와 TV드라마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라며 "올해로 30년째 한국 파트너와 다양한 서비스를 펼치면서 한국 소비자에게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했다. 디즈니는 전세계 문화 콘텐츠를 선두해 온 기업으로써 많은 영화들이 감사하게도 국내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고, 20세기 스튜디오의 합류로 폭 넓은 즐거움을 전달했다. 이젠 변화하는 콘텐츠 소비에 맞게 확장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제이 트리니다드 월트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DTC 사업 총괄은 "한국은 뛰어난 문화 콘텐츠로 전 세계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글로벌 콘텐츠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휩쓸고 있다. 디즈니 플러스 한국 출시를 통해 국내 소비자에게는 최고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를 소개하고, 동시에 한국의 창의적 우수성을 전 세계 관객에게 선보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즈니 플러스가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넷플릭스의 강력한 경쟁자이기 때문. 우위를 선점한 넷플릭스와 비교해 뒤늦게 뛰어든 디즈니 플러스가 어떤 결과를 얻을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넷플릭스를 통해 메가 히트작 '오징어 게임'이 탄생하면서 OTT를 향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
트리니다드 총괄은 다른 OTT와의 차별점, 경쟁력에 대해 "가장 핵심적인 차별점은 방대한 콘텐츠, 아이코닉한 브랜드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을 디즈니에서 만날 수 있는 게 핵심 포인트"라고 자랑했다.
한국 시장의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디즈니는 콘텐츠 기업이다. 스토리 텔링은 하는 일이 핵심이며, 고품질의 세계적인 콘텐츠 제작을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며 "당연히 한국에서도 이어나갈 것이다. 적극적으로 한국 콘텐츠, 아태지역 전체 콘텐츠를 향후 몇 년간 대대적으로 투자할 생각이다. 고품질의 매력적인 콘텐츠가 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자세한 투자 금액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국내 망사용료와 한국 콘텐츠 저작권 및 판권 관련 질문도 나와 눈길을 끌었다.
앞서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의 흥행으로 막대한 수익을 기록했지만, 국내 망사용료는 한 푼도 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 돼 논란이 됐다. 넷플릭스는 구글에 이어 국내 인터넷망을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해외사업자이며, 유럽과 일본 등에는 망 사용료를 지급하고 있다고.
그러나 지난해 국내 매출이 4,100억원에 달했지만 3,204억원을 본사 수수료로 전달했고, 영업이익률을 낮춰 법인세를 21억 7,000만원만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세청이 세무조사를 거쳐 약 800억을 추징했으나 불복 의사를 나타내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트리니다드 총괄은 망사용료 이슈에 대해 "디즈니가 가지고 있는 철학은 '선량한 기업, 시민이 되자'라는 것"이라며 "그동안 한국에서도 월트디즈니는 선량한 시민이 되자라는 생각으로 좋은 사회의 일원이 되길 원했다. 파트너사와 콘텐츠 제작사 등 사업자들과 협력해 나갈 것이다. 그래야 최고의 스트리밍 기업으로써 (좋은 영향력이) 소비자들에게 더욱더 퍼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또한, "한국 콘텐츠의 저작권, 판권, 추가 인센티브 등이 있는지 궁금하다"는 질문에 김소연 상무는 "요즘 이 부분도 많이 궁금하실 것 같은데, 그건 작품마다 상황마다 상이하다"고 했다.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가 모든 저작권과 판권 등을 독점해 국내 제작사 및 관계자, 배우들이 추가적으로 인센티브를 받기는 힘든 것으로 전해졌다.
김소연 상무는 "이 자리에서 명확하게 설명하긴 어렵다"면서도 "가장 중요한 건 소비자들한테 흥미롭고, 재밌고 훌륭한 작품을 소개하는 게 중요하다. 그것을 위해서 콘텐츠 파트너사들과 윈윈하고, 상생하고, 같이 성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즈니 플러스는 론칭 시점부터 내후년까지 조인성·한효주·류승룡 주연 '무빙', 서강준·김아중·이시영 주연 '그리드', 강다니엘·채수빈 주연 '너와 나의 경찰수업', 윤계상·김지석·서지혜 주연 '키스 식스 센스' 등의 아태지역에서 50개 이상의 오리지널 라인업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트리니다드 총괄은 "한국 시장의 특징은 3가지의 두드러진 이유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첫 번째는 글로벌한 매력이다. 두 번째는 탁월한 퀄리티의 제작 수준이다.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 번째는 창의성과 독창성이다. 가장 좋아하는 영화인 '기생충'만 봐도 세계적인 수준의 독창성을 표현하고 있다"며 장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 hsjssu@osen.co.kr
[사진]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