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설경구가 영화 '킹메이커'에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역할을 소화한 소감을 밝혔다.
13일 영화 '킹메이커'(제공·배급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작 ㈜씨앗필름, 감독 변성현) 측은 언론시사회와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영화를 연출한 변성현 감독과 주연 배우 설경구, 이선균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킹메이커'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 도전하는 정치인 김운범과 존재도 이름도 숨겨진 선거 전략가 서창대가 치열한 선거판에 뛰어들며 시작되는 드라마를 표현한 영화다. 이 가운데 설경구가 정치인 김운범, 이선균이 그를 돕는 전략가 서창대를 맡아 열연한다.
특히 김운범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삼아 영화적 상상력으로 재창조된 인물이다. 이에 설경구는 "아무래도 저는 모티브가 되는 실제 우리나라의 큰 위인 같은 분이 계셔서 모사할 수는 없고 그 준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간점을 찾기가 어려웠다. 연설 장면에서 그런 연설을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그 부분이 어떻게 톤을 잡아야 할지 난감했다. 그 부분에서 감독님과 톤을 잡아서 촬영을 마쳤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변성현 감독은 이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을 모티브로 삼았다기 보다는 그 분의 자서전에 단 몇 줄만 등장한 한 남자에게 초점을 맞췄다. '선거의 귀재였다'라고 나오고 찾아보면 야사, '썰'로 구전될 수 있겠더라.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상상력을 풀어냈다"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설경구는 "김대중 대통령을 모티브로 삼은 인물에 대해 부담이 있었다. 처음에 대본을 받았을 때는 실제 이름이 캐릭터에 있어서 너무 부담되니 이름을 바꿔달라고 했다. 그 바뀐 이름 하나로도 제 마음의 짐이 덜어졌다. 저는 최대한 안 가져오려고 노력했다. 최대한 '김운범'이라고 생각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님 생전의 모습을 제가 될 수도 없고 따라할 수도 없어서 텍스트에 쓰여진 대로 중점적으로 하려고 했다"라고 했다.
이어 "목포 사투리를 전 대사로 연습했는데 감독님 앞에서 리딩을 한 후에 사투리를 다 걷어내고 느낌만 가졌으면 좋겠다고 해서 오히려 걷어내는 작업을 했다. 오히려 다가가기 보다는 조금 더 떨어져서 김운범이라는 캐릭터를 하려고 했다. 연설은 몇 장면 참고는 했다. 그런데 그 당시에 있는 영상이 없어서 연설문이 저희 영화에 그대로 차용된 부분이 많이 있어서 연설문을 많이 제 것으로 담으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라고 밝혔다.
'킹메이커'는 29일 개봉한다.
/ monamie@osen.co.kr
[사진]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