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이 정의로울 때 수단은 정의롭지 않아도 괜찮은가. 스타일리시한 정치 드라마인 줄 알았는데 과몰입 유발하는 연기가 도덕적 딜레마를 선사한다. 변성현 감독과 배우 설경구, 이선균의 새 영화 '킹메이커' 이야기다.
'킹메이커'(제공·배급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작 ㈜씨앗필름, 감독 변성현)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 도전하는 정치인 김운범(설경구 분)과 존재도 이름도 숨겨진 선거 전략가 서창대(이선균 분)가 치열한 선거판에 뛰어들며 시작되는 드라마를 그린 작품이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약칭 불한당)'으로 칸 영화제까지 초청받았던 변성현 감독과 설경구가 이선균과 뭉쳐 만든 신작이다.
영화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그의 선거 참모였던 엄창록의 이야기를 다룬다. 변성현 감독과 연출진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평전을 참고해 영화적으로 각색했다. 이에 1960년대와 70년대 국내 정치의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허구적 상상력이 주를 이룬다.

자연스레 두 주인공을 비롯해 실존 인물들을 연상케 하는 등장인물들이 속출한다. 공교롭게도 개봉 시기가 대선을 앞둔 터라 아는 만큼 보이는 부분도 많다. 자칫 '정치'가 영화의 모든 것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듯 비치기도.
그러나 '킹메이커' 안에서 정치는 하나의 장르물일 뿐이다. 유토피아를 꿈꾸며 올바른 정치의 표상처럼 비치는 이 작품의 '빛' 김운범과 정의를 바로 세우고 승리하기 위해 이기는 수단은 어느 정도 비열해도 괜찮다는 '그림자' 서창대. '킹메이커'는 이런 두 인물이 빛과 그림자처럼 따로 또 같이 붙어있다 떨어지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그려낸다. 이 과정에서 극의 주요 사건들이 전개되고 긴장감과 카타르시스가 발현된다. 그 사이 '정치'는 그저 두 인물이 텐션을 유지하며 마음껏 놀 수 있는 장르적 발판일 뿐이다.
오히려 정치라는 외피를 한 꺼풀 벗겨내면 볼 수 있는 설경구와 이선균이 보여주는 도덕적 딜레마가 '킹메이커'의 본질에 더 가깝다. 정의로운 세상을 위해 '왜' 이겨야 하는지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김운범, 이기기 위해서는 '효율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서창대. 극명하게 다른 듯 하지만 결국 같은 정의를 위해 움직이는 두 인물인 만큼 영화는 정치가 아닌 진정한 '정의'에 대해 논한다.

다소 철학적이기까지 한 영화가 던지는 질문에 설경구와 이선균은 탁월한 표현력으로 몰입감을 더한다. 먼저 이선균은 독초이자 약초인 애기똥풀과 자필 편지를 정성스럽게 써서 보내는 혈기왕성한 젊은 날부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승리하려는 젊은 참모이자 회한으로 얼룩진 노년까지 자연스럽게 변모한다. 그의 변주로 서창대는 극 중에서는 김운범의 그림자이지만 영화 안에서 만큼은 명실상부 타이틀롤 '킹메이커'로 이야기를 견인한다.
설경구의 김운범 또한 압권이다. 김운범의 세부적인 설정들이 자연스럽게 김대중 전 대통령을 떠올리게 하는 만큼 실존인물과 허구의 캐릭터 사이 균형을 맞추는 게 관건인 바. 설경구는 어느 누구도 아닌 '김운범' 그 자체로 영화의 무게감을 지켜낸다. 이선균의 서창대가 음지에서 헌신하는 '그림자'라면, 설경구는 전작에 비해 한층 건장해진 체형은 물론 신뢰감 있는 연기로 '킹메이커'의 '빛'을 담당한다.
변성현 감독 특유의 감각적인 연출과 미장센 또한 이 영화의 훌륭한 볼거리다. 조명과 미술을 활용한 빛과 그림자의 강렬한 대비가 김운범과 서창대의 상황 차이를 직관적으로 납득시킨다. '불한당'에서 강렬한 색감으로 누아르 장르를 감각적으로 풀어낸 변성현 만의 스타일리시한 멋이 '킹메이커'에서는 명암과 빛과 어두움의 대비로도 만개한다.
'킹메이커'는 29일 전국 극장가에서 개봉한다.
/ monamie@osen.co.kr
[사진]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