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등 최대 3팀+김포 가세'.. 2022시즌 K리그, 어떤 것들 바뀌나
OSEN 강필주 기자
발행 2022.01.04 10: 37

2022년 임인년 새해 K리그는 어떤 것들이 바뀔까. 
예년보다 이른 개막이 예상되는 만큼 2022시즌을 준비하는 각 팀의 발걸음도 바빠졌다. 또 개막을 앞둔 K리그의 제도와 규정에도 다양한 변화들이 있을 전망이다. 2022시즌부터 K리그에 적용되는 새로운 제도들을 짚어본다.
▲ 승강팀 수 확대, ‘1팀(자동 승강) + 2팀(승강 PO)’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승강팀 수가 기존의 ‘1+1’에서 이번 시즌부터 ‘1+2’로 늘어난다. K리그1 12위팀과 K리그2 1위팀이 서로 자리를 맞바꾸는 것은 기존과 같다. 하지만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르는 팀이 기존 1팀에서 올 시즌부터 2팀이 된다. K리그1 11위팀과 K리그2 2위팀이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르고, K리그1 10위팀은 K리그2 3위~5위 간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 결국 한 번에 3개팀이 강등 또는 승격될 수 있다.
▲ ‘김포FC’ K리그2 참가, K리그 23개 구단 체재
김포FC의 K리그2 참가가 1월 중으로 예정된 총회의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다. 총회 승인이 이뤄지면 올 시즌부터 K리그는 1부 리그(K리그1) 12개, 2부 리그(K리그2) 11개 총 23개 구단 체제로 운영된다. K리그2는 기존 10개팀이 팀당 36경기를 치렀으나 올 시즌부터는 11개팀이 팀당 40경기를 치르게 된다.
▲ ‘5명 교체’, K리그2에도 적용
지난 시즌 K리그1에만 적용됐던 '5명 교체'가 2022시즌부터 K리그2에도 적용된다. 선수 교체 방식은 K리그1과 같다. 출전선수 명단에 22세 이하(U-22) 선수가 선발 1명 대기 1명 이상 포함되고 대기 U22 선수가 교체선수로 투입되거나 U22 선수가 선발로 2명 이상 출장하면 5명까지 교체할 수 있다. U22 선수가 선발출장하지 않으면 최대 2명까지만 교체가 가능하다. U22 선수가 선발로 1명만 출장하고 교체투입이 없으면 최대 3명까지 교체할 수 있다. 교체 횟수는 경기중에는 3회까지 가능하고 하프타임 교체는 별도다.
▲ ‘준프로계약’ 활성화... 고1부터 준프로계약 체결 가능
2018년 도입된 준프로계약 제도의 활용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2021시즌 K리그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국가대표팀에 선발됐던 수원의 정상빈도 2020년 준프로계약 체결 후 2021년 프로계약으로 전환한 케이스다. 이에 K리그는 준프로계약 체결 연령을 기존 17세(고2)에서 16세(고1)로 하향하고, 한 구단이 준프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연간 인원을 기존 3명에서 5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각 구단의 유스 육성 동력이 강화되고 B팀 운영 시 선수 수급이 원활해질 전망이다.
▲ ‘프로 B팀’ 4팀으로 증가.. R리그는 구단별 자율로
2021년도에 ‘프로 B팀’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K리그 구단 중 강원이 처음으로 B팀을 구성하여 K4리그에 참가했다. 올 시즌에는 강원을 비롯해 전북, 대구, 대전까지 총 4개 구단의 B팀이 K4리그에 참가한다. B팀 운영은 유망한 선수들의 실전 경험을 통한 기량 향상과 선수단 운용폭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리그(리저브 리그)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된 지 2년만에 재개된다. 다만 B팀 운영 등 각 구단의 상황이 다름을 고려하여 R리그 참가는 구단의 자율 선택에 따르도록 했다. /letmeout@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