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똥별’이 리얼하고 현실적인 연예계를 담아냈다. 홍보 팀장과 톱스타의 로맨스를 그린 ‘별똥별’이 사랑스러운 매력으로 시청자를 사로잡을 수 있을까.

20일 오후 온라인 생중계 된 tvN 새 금토드라마 ‘별똥별’ 제작발표회에 이성경, 김영대, 윤종훈, 김윤혜, 박소진, 이정신, 이수현 감독이 참석했다.
‘별똥별’은 ‘별(STAR)들의 똥을 치우는 별별 사람들’이란 뜻으로, 하늘의 별과 같은 스타들의 뒤에서 그들을 빛나게 하기 위해 피, 땀,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의 리얼한 현장 이야기를 그린 로맨틱 코미디다.
이성경은 드라마와 실제 연예계의 싱크로율이 아주 높다고 했다. 이성경은 “진짜 같다. 섬세하게 표현을 잘 해주셨다. 옆에서 같이 일하는 팀들 과 식구들의 고충과 현실적으로 일하는 과정들이 담겨 있어서 공감했다. 95%. 누구도 유추가 되지 않게 에피소드가 나온다. 누구를 떠올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당부했다. 김영대 역시 “가볍고 재미있고 발랄하다. 지금 보여드린 공태성에서 가벼운 쪽이 많이 닮았다. 신인이었기 때문에 많은 것을 알게 됐다. 주변 스태프에게 감사한 것을 조금 더 깊게 느꼈다. 싱크로율이 90%정도 된다”라고 덧붙였다.
윤종훈은 드라마의 매력이 코믹함과 러블리함이라고 했다. 윤종훈은 ”연예계 이야기다. 사랑스럽고 귀엽고 이쁘고 아기자기한 에피소드가 장점이다. 뜨악한 일들을 보기 싫게 그려내지 않고 코믹스럽고 러블리하게 그려낸다”라고 장점을 설명했다.
김윤혜와 박소진 역시 각각 매니저와 연예부 기자 역할을 맡았다. 김윤혜는 “저도 현장에서 팀장님이 저를 위해서 일을 해주시고 지켜주는 것을 보면서 저도 공감했다. 시청자도 이런 직업에서 이런 느낌을 가질 수있구나 생각을 할 수 있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박소진은 “연예부 기자 역할이다. 이 세계 일을 밖으로 꺼내주는 역할이다. 어떤 글을 어떻게 쓰는 걸까 궁금했다. 이런 글들을 이렇게 쓰는 구나를 알게 됐다”라고 털어놨다.

이수현 감독은 ‘별똥별’이 친근하게 다가서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감독은 “현장에 다른 감독과 가장 많이 이야기 했던 것은 시청자가 엿보는 기분으로 같이 봤으면 좋겠다. 있는 그대로 담백하게 보여드리는 것이 시청자도 편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라고 연출 방향을 전했다.
이어 그는 “큰 목표를 가지고 사건을 해결하지 않는다. 다양한 직군의 이야기들을 유쾌하게 펼쳤다. 시트콤적인 요소가 있다. 회별로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채워주신 카메오 배우들이 화려하다. 어떤 배우가 어떤 에피소드로 나타날 주실지도 기대하면서 봐주셔도 재미있을 것이다”라고 관전 포인트를 설명했다.
이성경은 홍보 팀장 오한별 역을 하면서 공감했다. 이성경은 “회사에 친한 분들이 개인적으로 친해지다보니까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그들의 감정을 듣고 공감하게 됐다. 한별을 연기하면서 수많은 별들의 감정이 드러나 있어서 공감이 됐다. 간접적으로 느꼈던 것을 소개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되서 기뻤다. 한별이 일을 정말 잘한다. 엔터테이너의 이야기도 있지만 후반부에는 각 직업군에 대한 고민도 있어서 그런 것을 보면서 넓게 바라보게 되고 성장할 수 있었다”라고 고백했다.

김영대는 ‘별똥별’로 첫 주연 역할을 맡았다. 김영대는 “긴장도 되고 부담도 된다. 현장에서 느꼈던 행복감을 시청자에게 전달하고 싶고 표현하고 싶다. 목표이자 각오로서 촬영에 끝까지 임했다. 톱스타 역할을 멀리서 찾지 않고 옆에서 찾았다. 이성경은 최고의 배우고 윤종훈은 정말 스윗한 사람이다. 두 사람에게 많이 배웠다”라고 말했다.
윤종훈은 매니저로서 많은 것을 느꼈다고 했다. 윤종훈은 “매니저는 배우를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으면 못하는 일이다. 제가 현장 매니저와 스타일리스트 덜 귀찮게 해야겠다고 다짐했다”라고 스윗한 면을 드러냈다. 이성경 역시 “스태프와 배우 모두 인기투표 1위다. 실제 모습과 비슷하다”라고 칭찬했다.
박소진은 실제 연예부 기자와 인터뷰를 했다. 박소진은 “연예부 기자를 한 명을 섭외해서 3시간 동안 인터뷰를 했다. 그 인터뷰를 다시 들으면서 기자들이 우리를 인터뷰할 때 어땠는지 궁금했다. 평소에 기자들이 표정이 건조하고 그런 것들이 궁금했다. 기자로서 누구를 대할 때 사심이 섞이면 쉽지 않다. 그런 것들이 드라이한 톤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인상이 깊었다”라고 깨달은 점을 고백했다.
이수현 감독은 ‘별똥별’을 통해 연예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고충을 유쾌하게 그려내고 싶다고 했다. 이 감독은 “유쾌하고 가벼운 이야기를 좋아해서 하고 싶었다.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다뤘던게 재미있다. 배우, 매니저, 홍보팀도 일하면서 안타까운 면도 있다. 홍보팀은 대본 받을 때부터 정해진 일이다. 홍보팀이 하는 일이 맡은 스타가 사랑 받게끔 일했다. 스타가 돈을 많이 벌더라도 홍보팀이 갖게 되는 것은 없다. 그럼에도 자기 일처럼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다. 을의 애환이라기 보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다. 직장인이나 사업가나 자기가 하지 않은 일에 대해서 사과 할 때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 때문에 싸우기도 한다. 한별이나 매니저 역할을 많이 하는 대사기도 하고 상황이다. 사실무근의 기사에 대해 싸우는 일. 배우가 사고를 쳤을 때 매니저가 사과를 했다. 기자들에게 죄송하다고 사과를하고 그런 부분은 비일비재하다”라고 했다.
이성경과 김영대는 서로에 대한 탄탄한 신뢰를 표현했다. 이성경은 “작가님과 저와 감독님이 친해져 있는 상황에서 김영대가 정글에 들어온 것 처럼 보였다. 긴장한 모습을 봤다. 잘 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기가 막힌다”라고 표현했다. 김영대 역시 “첫 만날 때는 어색했다. 낄 타이밍이 없었다. 촬영을 하면서 어려움이 전혀 없었다. 지금은 의지하고 신나고 재미있게 촬영을 했다. 너무 고맙고 지금도 고맙고 앞으로도 고마울게”라고 감사함을 전했다.

이정신은 변호사로서 공감이 가는 에피소드를 털어놨다. 이정신은 “지금까지 변호사를 만나거나 상담해 본 적은 없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스타포스엔터테인먼트의 케이스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안티카페에 대한 이야기다. 경찰서에 가서 안티카페 개설자를 만나는 장면이 있다. 연예인을 싫어하는지에 대해 돌아온 답을 보고 아팠다. 더 이입해서 연기했다. 다양한 케이스들이 나온다. 웃기고 해학적인 것도 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도 나온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별똥별’이 기존의 오피스 멜로와 다른점이 있다. 이수현 감독은 “매니지먼트사가 배경이니까 오피스 멜로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오피스 멜로와 물리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배우와 홍보팀과 매니저라는 것이 촬영 현장이 이들의 일터다. 기본적으로 에피소드와 환경자체가 다르다. 태성은 슈퍼스타이기 때문에 길거리를 가거나 카페를 가거나 그럴 수는 없다. 데이트 장면이 있을 때도 몰입을 깰 수 있어서 리얼하게 담으려고 애를 썼다”라고 했다.
이성경은 홍보 팀장과 톱 배우의 열애가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성경은 “한별이의 역할을 하고 있다면 바빠서 못하지 않을까 태성이 보다 더 바쁘다. 배우가 작품에 집중할 때, 이 배우만 케어하는 게 아니라 회사에 있는 모든 배우를 관리하고 케어해야하기 때문에 바빠서 가능할지 모르겠다. 한별이와 태성이가 심쿵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도 과거부터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김영대는 “사랑에는 나이도 국경도 없다. 개인적으로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별똥별’에 출연하는 배우들은 함께 일하는 스태프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박소진은 “기사를 보면서 나쁜 이슈를 볼 때 회사 홍보팀 난리 나겠다. 좋은 이슈를 보면 회사 신나겠다라고 시선이 바뀌었다. 기사를 읽을 때도 있는 사실을 접했다면 이런 애정을 담아서 쓰셨고, 이런 관점으로 봐주셨다고 생각이 들어서 많이 바뀌었다”라고 설명했다.
김영대는 “드라마 촬영하면서 받아온 케어들이 느껴졌다. 많은 분에게 감사하다. 매니저와 스태프 분들과 홍보팀들까지 이런 일을 하는 구나라는 것을 배우게 됐다”라고 밝혔다.
이성경은 “홍보팀은 일로만 하면 하기 힘든 일이다. 사람을 케어하는 것이지 사물을 케어하는 것이 아니다. 잘 만들어갈 수 있게끔 도와주고 서포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일적으로 할 수 없는 일이다. 사랑하고 소중하다는 마음이 들었다”라고 감사함을 표현했다.
‘별똥별’은 오는 22일 오후 10시 40분 첫 방송 될 예정이다./pps2014@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