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박중원 PD가 ‘미운우리새끼’가 가지는 경쟁력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 등을 밝혔다.
‘미운우리새끼’를 연출하는 박중원 PD는 최근 서울 양천구 목동 SBS 사옥에서 OSEN과 만나 300회를 맞이한 소감 등을 밝혔다.
2016년 8월 26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시청자들에게 웃음과 감동, 눈물을 선사한 SBS 예능 프로그램 ‘미운우리새끼’가 2022년 7월 10일 방송으로 300회를 맞았다. 2016년 SBS 연예대상에서 방송작가상(육소영), 프로듀서상(박수홍), 버라이어티 부문 우수상(서장훈). 쇼·토크 부문 최우수상(김건모), 올해의 예능 프로그램상, 대상(신동엽)을 차지하며 그 인기를 증명한 ‘미운우리새끼’는 2017년, 2020년 연예대상에서도 대상을 받았다.
300회까지 걸어오는 동안, ‘미우새’는 다양한 시도를 했고, 새로운 얼굴을 보여주면서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 결과, ‘미우새’는 6년 동안 꾸준한 사랑을 받으면서 일요일 예능 최강자를 넘어 전체 예능 중에서도 유일하게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먼저 박중원 PD는 “어떻게 100회까지 왔지, 어떻게 200회까지 왔지 싶다. 오랜 시간을 해오면서 좋은 추억들이 많아졌다고 느낀다. 다시 봤을 때 미소를 지으면서 볼 수 있는 내 추억을 담은 사진첩이 풍성해진 느낌이다”고 말했다.
이어 박 PD는 “출연자 분들이 내로라 하는 예능 선수들이기 때문에 실제로 굉장히 큰 웃음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연출 팀과 작가 팀, 그리고 MC를 포함한 출연자들 사이의 삼박자 호흡이 아주 좋다고 생각한다. 서로에 대한 믿음, 호흡이 아주 좋기 때문에 그 부분이 시청자 분들에게 전달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단합대회 등 출연자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에피소드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이는 200회를 맞이하던 즈음부터 시도된 것으로, 시청자들의 코드를 제대로 저격하며 ‘미우새’에 또 하나의 경쟁력을 선사했다.
박중원 PD는 “탁재훈이 예전에 촬영 때 이야기하기를 ‘어디서 이렇게 미운 놈들이 계속 생겨나는거야’라고 했다. 그런 ‘미운 새끼’들이 자꾸자꾸 생겨나서 이런 캐릭터, 저런 캐릭터들을 보여야 시청자 분들이 호기심을 갖고 ‘미우새’의 생명력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출연자들을 통찰력을 갖고 깊이감 있게 관찰해서 재미있게 보여줘야 하는 게 제작진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리고 출연자들이 우리가 모이면 이렇게 웃길 수 있구나를 느낀 것 같다. 그러면서 본인이 회차를 이끌어 가야 된다는 부담도 덜고, 서로 힘을 합치면서 웃음을 만들면서 시너지를 낸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elnino8919@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