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황정민, 박해수. 대한민국에서 연기 잘한다는 배우들은 다 모였다. 여기에 조우진과 유연석과 장첸까지 연기에 빈틈은 없다. 마약과 폭력 그리고 배우들의 연기가 어우러져서 방영 내내 긴장감을 보여준다.
지난 9일 오후 4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수리남’(극본 윤종빈·권성휘, 연출 윤종빈이 베일을 벗었다. ‘수리남’은 남미 국가 수리남을 장악한 무소불위의 마약 대부 전요환(황정민 분) 때문에 누명을 쓴 사업가 강인구(하정우 분)가 국정원의 비밀 임무를 수락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수리남’은 윤종빈 감독의 특기가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다. ‘공작’의 숨 쉴틈 없는 긴장감과 ‘범죄와의 전쟁’ 속 살아있는 캐릭터가 제대로 녹아있다. 영화가 아닌 6시간이 넘는 드라마로 한국 마약왕의 이야기를 담아내겠다는 야심이 돋보였다.
‘나르코스’나 ‘브레이킹 배드’, 영화 ‘시카리오’ 등 마약과 관련된 수많은 작품이 있는 만큼 ‘수리남’ 역시 그들과 비교는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수리남’은 유명한 드라마나 영화와 확실하게 다른 색깔을 보여준다. ‘수리남’만의 특별함을 만들어내는 것은 배우들의 연기다. 1화와 2화를 지나 3화부터 쫓고 쫓기고 의심하고 확인하고 싸우는 장면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하나의 의심이 끝나면 또 다른 의심이 이어진다. 계속된 의심이 이어지면 지칠법도 하지만 윤종빈 감독은 관객들의 마음을 정확히 읽어내고 적당한 지점에서 완벽한 완급 조절을 보여준다.


역대급 악역 전요환을 연기한 황정민이 먼저 눈에 띈다. 마약상이자 사이비 종교 교주이자 목사다. 타협할 수 없는 악역을 만난 황정민의 탁월한 연기가 없었다면 ‘수리남’의 긴장감도 없다. 드라마 내내 의심하는 역할로 등장하지만 절대 질리지 않는다. 피부톤까지 연기하는 황정민의 연기가 놀랍다.
오랜만에 돌아온 하정우도 탁월하다. 주인공으로서 때론 억울하게 때론 웃기게 때론 진지하게 극의 긴장감을 쥐었다 푸는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해냈다. 하정우가 아닌 강인구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극을 탁월하게 이끌어냈다. 넷플릭스 공무원인 박해수 역시 딱딱한 국정원 요원 최창호와 마약상 구상만 역할을 오가며 극의 몰입을 만들어낸다.


조우진이 ‘수리남’의 백미다. 문신과 수염을 하고 등장한 변기태로 변신한 조우진은 비주얼부터 연기까지 흠 잡을 곳이 없다. 중국어와 한국어를 모두 사용하면서 극의 분위기를 잡기도 하고, 깜짝 놀라는 면모를 보여준다. 중국 조직폭력배 보스로 첸진 역을 맡은 장첸도 놀랍다. ‘범죄도시’의 악역이었던 장첸 못지 않은 포스를 보여준다. 한국 관객에게 낯선 모습으로 등장한 장첸의 열연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다.
좋은 배우들이 좋은 감독과 만난 만큼 ‘수리남’의 영상미나 재미는 떨어지지 않는다. 다만 실화를 바탕으로 한 만큼 극으로서 줄 수 있는 쾌감이나 반전 매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첫 드라마 연출작이기 때문일까. 캐릭터 설정상 옥에티라고 느껴지는 부분도 분명 존재한다.
‘오징어게임’ 이후 한국 컨텐츠의 위상이 한없이 높아지고 있다. ‘수리남’은 미술부터 대본과 연기까지 그 높아진 위상에 부끄럽지 않은 작품이다. /pps2014@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