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서 오은영이 현재 소송 중인 한혜연이 법정에서 명확한 사안을 밝힐 수 있길 응원하며 뼈있는 조언을 전했다.
18일 방송된 채널A 예능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서 오은영이 뼈있는 조언을 남겼다.
이날 2년만에 돌아온 패션계의 대모, 한지민, 임수정, 이효리 등 슈퍼스타 스타일리스트로 불린 한혜연이 출연했다. 정형돈은 “역대 출연한 고객 중 가장 걱정과 두려움이 많다더라”며 유튜브 PPL 논란을 언급한 것. 오은영도 2년 전 사건에 대해 조심스럽게 물었다.
‘내돈내산’ 사건의 전말에 대해 한혜연은 “직접 구매한 제품을 소개하던 코너, 개인 너튜브로 방송을 여러번했다”면서 “그 중 제가 산건 아닌데 제가 산 것 처럼 표기한 적이 있어, 그 부분은 커뮤니티에 사과를 올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혜연은 “그 이후 소송 중인 일이 있다, 너무 믿고 일을 맡긴 친구한테 큰 배신감을 느꼈다, 돈을 받은지 몰랐다”며 한혜연 몰래 뒤에서 광고비를 받았던 것.
한혜연은 “진행 중인 사건이라 세세하게 말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추후 명확하게 말하고 싶어, 사실 파악 전 저를 좋아했던 분들이 있어 사과부터 했지만 애매모호하게 사과하게 됐다”며 어렵게 입을 뗐다. 재판에 얽혀 자세히 밝히지 못하지만 자신의 이름을 걸었던 만큼 사과부터 했다는 것.

오은영은 “어쨌든 대중은 한혜연씨 솔직한 줄 알았더니 거짓말 하셨다고 받아들인 사람이 많을 것”이라며 표면적인 부분만 보는 대중들의 시선을 전했다. 한혜연은 ”제가 광고표기 방법에 대해 무지했다, 좀 더 정확히 알았어야했는데”라며 “뒷광고 논란 후 광고 표기법에 대해 명확히 알게됐다, 동료의 잘못은 둘째치고 어쨌든 온전히 제 책임, 제 타이틀을 갖고 일을 한 것이기 때문”이라며“어느 정도 공인인 만큼 행동을 조심했어야하지 않나, 지킬 건 지켜야했는데 신경을 안 썼나? 이런 생각이 들었다”며 후회와 반성의 시간을 가졌다고 했다.
이에 오은영은 “물론 책임져야할 부분은 존재한다”며 “회사를 운영하다보면 많은 이들이 협력해 운영하는 회사 한 사람이 모든 과정을 참여하기 어려운 현실이라 나눠서 일을 진행하고 되고 여기에서 문제가 생긴다”며 결국 자신의 이름을 걸고만든 만큼 팀원의 잘못이어도 잘못은 한혜연의 책임이라는 것. 오은영은 “그 일에 직접 관여한 것이 아니라면.. 그 얘기를 못한 게 굉장히 힘이 들 것 같긴 하다”며 감정을 살피면서 상황설명 없이 직접 사과해 온전히 잘못이 한혜연에게 쏠렸다고 전했다.
한혜연은 “천천히 사실을 밝히려 노력 중이다 1여년 가까이 형사소송 진행 중”이라며 무겁게 입을 열었다. 그러면서 “대부분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사람이었는데 이전의 나로 돌아갈 수 없겠구나 이런 생각이들더라”면서“사람에 대한 의심도 심해졌다 오랫동안 이어온 소중한 인연들이 있어, 내 사람들과 잘 지내면 된다고 싶으면서도 더이상 관계를 맺는건 이제 힘들겠구나 믿음이 안 간다”며 울컥했다.

한혜연은 “당연히 논란 후 일상이 계속되면서 살아도”라며 잠시 말을 멈추더니 “그걸 그냥 하는 거지 하나도 행복하지 않다, 그래도 (맛있는 걸 먹고 재밌는걸 보고)하긴 하는데 그 일이 해결되는 걸 보고 죽고 싶으니까, 그때까지 최대한 건강 유지하려 한다”며 이를 버티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오은영은 “생각보다 심각해 이 문제가 해결된 후에 죽고 싶다는 말이 심장이 덜컹 내려 앉았다”고 했다. 그러자 한헤연도 “나쁜 생각 안 해본 거 아니다”며 극한의 상화에서 자신도 모르게 극단적인 생각도 했다고 고백했다. 한혜연은 “스스로에게 함부로 해한 번은 멍이 들 정도로 가슴을 내려친 적 있어, 답답함이 풀리지 않아 가슴을 친 적있다”며“화가 날 때 나를 때린다”고 했다. 자해까지 시도했던 것. 충동적인 행동이 반복됐다고 했다.
오은영은 “이유가 어쨌든 극단적인 마음이 드는건 위험, 죄송한 표현이지만 한혜연이란 사람이 이 지경이 되어있다”면서“여긴 법정이 아니다 그러나 갈기갈기 (마음이) 너덜너덜해진 상태, 여긴 인간의 고통과 내면에 대해 상담하는 프로그램이다, 정신건강의 전문의로서 마음을 따라보려 한다”며. 심층적으로 그의 마음을 살펴봤다.
한혜연은 “불특정 다수에 대해 (나도 모르게 그 이 후)부정적인 감정이 먼저 생긴다, 어느 날 식당에 앉아있는데 한 커플이 안 좋은 얘기하더라 계속 수근거리길래 이리 와보라고 했다”며 “뭐가 궁금한지 얘기해보고 싶다고 하니 팬이라 사진 찍고 싶다고 해, 아차..내가 뭐라고, 미쳤구나 싶더라”고 했다. 날선 김정이 앞서갔다는 것.

이에 오은영은 “마음이 많이 힘들어보인다 이유가 뭐든 간에 당사자는 이유불문 굉장히 힘들 것, 논란 전 다수의 시선이 자신에 대해 응원한다고 느끼다가 논란 후 (불특정 다수가) 자신을 싫어한다는 느낌이 드는것 같다”면서 무언의 공격적인 사람들의 시선이 느껴지는 것이라고 했다. 그렇게 되면 사람이 위축되게 된다고.
한혜연은 “DM(SNS로 비공개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란 걸 몰랐는데 실망한 오랜 팬이 장문의 메시지로 심한 글을 보내, 무슨 마음이었는지 전화번호를 물었고 통화를 제안했다”며 “전화를 해서 나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이렇게 얘기하나 물으니 어쨌든 우리를 속인거 아니냐고 하더라, 날 믿고 구매한게 많았던 것 같다”고 떠올렸다. 한혜연은 “나에게 사정이 있어 지금 밝히지 못하지만 실망을 많이 하게한 것 같아 속이 상했다 그 후 DM을 안 보게 됐다”며 아픔을 전했다.
오은영은 “논란직후 초창기 적극적이다 못해 공격적으로 소통한 것 같다 , 사람이 위기상황에서 공격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다”며 마음을 이해했다. 한혜연은 “특정대상이 없어 더 힘들었던 것 같다, 대응해야하는 목표는 명확했다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의 비난을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불특정 다수에게 원망하고 자신에게 화를 낸 것 같다”고 인정했다.

오은영은 “크게 망신 당하신 것, 망신살일 뻗친 것”이라며 “속되게 표현하면 흙탕물 뒤집어쓴 느낌”이라 말했다. 한혜연 인생의 치명타일 수 밖에 없다고 했다. 논란 이후 2년이 지나도 여전히 괴로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 오은영은“똑같은 논란을 겪어도 어떤 사람은 인생의 치명타가 아닐 수 있으나 혜연씨에겐 치명타일 수 있다”며 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오은영은 “누구에게 인생의 치명타가 찾아올 수 있어, 이를 극복하는 3단계가 있다”며 첫번째로 이를 인정해야한다고 했다. 벗어나기 힘든 상황도 받아들이면서 위기의 상황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도 인지하기 위한 것. 두번째로는 “지금 굴러떨어진 나락이 지하 몇층인지 정확하게 자각해야 한다”면서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건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 자신의 처지를 정확히 자각해야한다는 것. 마지막 세번째로는 “포기할 것과 포기하지 않을 것을 잘 구별해 대응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오은영은 “죽음까지 생각할 정도로 이 사건이 유독 한혜연에게 치명타인 이유를 알아야한다”며 스타일리스트로 성공했던 원동력을 물었다. 오은영은 한혜연이 정직하지 않은 본인을 스스로 꼴보기 싫고 못 받아들인다는 것. 그러면서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을 속이려 했습니까”라고 질문, 한혜연은 “절대 아니다”고 했다. 오은영은 “그렇다면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가지셔야한다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중요해, 다른 사람 생각은 내가 통제할 수 없다”며 스스로 양심상 부끄러움이 없다면 자신의 떳떳함을 믿어야한다고 조언했다.

계속해서 오은영은 “법정에서 시간은 걸려도 사안은 밝혀야할 일”이라며 법정에서 정의를 세워야한다고 강조하며“그래도 인간 한혜연은 여전히 한혜연 본질은 같은 사람, 바뀌지 않는다, 그 걸 구별하기 바란다”고 했다. 본인과 논란을 구별하지 못하면 법정판결로 밝혀져도 예전처럼 당당하게 살긴 힘들 것이라고. 오은영은 “인간 한혜연은 변함없는 한혜연 지금도 솔직하고 성실한 똑같은 사람이다”고 하자 한혜연은 울컥했다.
한혜연은 “그렇게 생각해 본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하자 오은영은 “자신에 대한 자신감은 최선을 다해 실력을 인정받은 것 자신감의 원천은 잃었습니까”라고 묻자 한혜연은 “ 그건 계속 너무 갖고 있다 자긍심이 없어진 적 없다, 갖고 있을 거고, 갖고싶고 지키고 싶은 것”이라 대답, 오은영은 “그 자신감 잃지 않길 바란다”고 응원했고 한혜연도 “자신감을 되찾은 시간, 이겨내고 힘내서 열심히 일해보자 생각이 든다”며 파이팅을 외쳤다. /ssu08185@osen.co.kr
[사진]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