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의 하이브가 위기의 SM에 올라타 고삐를 잡았다. 최근 수 년동안 침체의 늪에 빠져 하향세를 타고 있는 원조 기획사 SM 입장에서는 국내 무대를 벗어나 세계시장을 제패한 하이브 방 의장이란 막강한 우군을 얻은 셈이다. 하이브가 SM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의 상당 지분을 인수하면서 방탄소년단과 NCT 등 국내 대표 아이돌 그룹들이 한솥밥을 먹게 된 것도 뉴스거리다.
10일 오전 OSEN 취재에 따르면, 하이브는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대주주가 보유한 지분 14.8%를 4228억 원에 인수했다. 이로써 하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 최대 주주에 등극했다. 최근 경영권 관련 소송 등으로 집안싸움이 벌어진 SM엔터가 다시 정상화 될 수 있는 기틀을 잡은 것.
무엇보다 이번 하이브의 SM 인수는, SM 내부의 갈등이 조속히 마무리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앞서 SM의 현 경영진과 이수만 총괄 간의 불화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심각한 위기로 치달았지만, 하이브의 방식혁 의장이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보다 빠르게 정상화 수순을 밟을 것이란 게 업계 분석이다. 여기에 수 년동안 침체됐던 SM의 경영난과 분위기 역시 이수만 총괄이 이번 빅딜을 계기로 일선에서 자연스럽게 물러나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K팝 팬들이 가장 눈여겨 볼 부분은 하이브와 SM이 손 잡으면서 유례없는 전무후무한 'K팝 왕국'이 완성됐다는 점이다.
하이브에는 방탄소년단,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뉴진스, 지코, 르세라핌, 엔하이픈 등이 소속돼 있으며, SM에서는 동방신기, NCT, 엑소, 에스파, 슈퍼주니어, 샤이니, 소녀시대, 레드벨벳 등이 활동 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류 열풍이 불면서 눈만 뜨면 새로운 보이그룹, 걸그룹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형 기획사에서도 마찬가지다. 신인 그룹을 론칭하고, 또 다른 신인들을 연습시켜서 데뷔를 준비할 정도로 가요계의 경쟁은 '상상 그 이상'이다.
이런 현실에서 국내 최정상의 기획사 하이브와 SM이 손을 잡았으니, 어제까진 경쟁 관계였으나, 오늘부턴 달라진다는 의미다.
다시 말해, 예전에는 타사보다 더 좋은 콘셉트, 더 좋은 음악, 더 좋은 무대 등으로 경쟁하는 라이벌이었다면, 이제는 넓은 테두리 안에서 한 식구 개념으로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관계가 됐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말처럼 쉽진 않겠지만, 그룹이나 솔로 앨범에 피처링이나 듀엣을 하는 등 더 많은 컬래버 작업도 기대해볼 수 있다. YG의 지드래곤 앨범에 블랙핑크 제니가 참여하는 것처럼 말이다. 하이브와 SM으로 나눠져 있을 때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이다.
이 외에도 방탄소년단으로 이룬 해외 진출 및 성과, 활동에 대한 넓은 이해도, 1세대 기획사 SM의 탄탄한 노하우, 서로 색깔이 명확하게 달랐던 두 회사간의 음악적 교류 등이 어떤 시너지를 불러올지 기대되고 있다.
/ hsjssu@osen.co.kr
[사진] 빅히트 뮤직, SM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