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준이 오은영에게 사상 첫 '3경고'를 받았다.
21일 방송된 ENA 예능프로그램 '오은영 게임'에서는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관계 놀이가 진행됐다.
이날 문희준과 인교진은 관계발달 반반놀이를 통해 '퀵 빌드 대결놀이'를 펼쳤다. 오은영은 "이때까지와는 다르게 최초로 같은 방에서 대결을 하게 된다. 관계를 배우는 놀이니까 다른사람과의 관계를 배우는 놀이에서 제일 중요한건 규칙을 이해하는거다. 지킬건 지켜야된다. 그리고 결과를 받아들여야한다. 그래야 즐거운거다. 그 과정에서 자기 욕구나 충동을 조절할수 있어야한다. 이런걸 아빠랑 아이가 어떻게 같이 해나갈지 기대된다"고 포인트를 짚었다.
그는 "이번 놀이는 협동놀이라는데서 의미가 있다. 대결이니까 승부욕을 가지고 열심히 할 필요가 있다. 결과도 잘 받아들여야한다. 과정도 공정하고 열심히 해야한다. 제한시간동안 누가 민첩하게 잘해내나 이런걸 보는거다"라고 설명했다.
가장 먼저 문희준과 소율이, 인교진과 소은이는 탑 쌓기로 승부를 겨뤘다. 문희준은 긴 브릭을 찾아서 소율이에게 전달했고, 이를 지켜본 이민정은 "아빠가 움직임이 이번에도 별로 없네요.."라고 타박했다. 뿐만아니라 두줄로 탑을 쌓는 희율이를 보며 "한개로 쌓으면 더 빠르지 않나. 한개로 쌓아봐라"라고 말로만 잔소리를 늘어놔 오은영의 '경고'를 받았다.

그러던 중 희율이의 탑이 쓰러졌고, 문희준은 "부실공사"라며 그때가 돼서야 일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인교진 역시 시간이 50초 남은 상황에서 가만히 지켜만 보고 있어 오은영의 경고를 받았다.
첫대결은 희율이의 승리였다. 두번째는 큰 하트 만들기였고, 하트 만드는 법을 설명하는 인교진과는 달리 문희준은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오은영의 두 번째 경고를 받았다. 희율이는 "어떻게 만들어야될지 모르겠어"라고 도움을 청했지만 문희준은 "이렇게"라며 말로만 설명했고, 소은이와 희율이는 "아빠도 같이 만들어야지"라고 항의했다. 지켜보던 소율 역시 "너무하다. 제가 봐도 답답하다. 왜 애기 마음을 몰라주냐"고 속상해 했다.
시간이 다 됐고, 문희준은 "희율이는 너무 작게 만들었다. 소은이는 크게 만들었지만 미완성이다"라며 "둘다 너무 잘했으니 이번 라운드는 무승부로 하겠다"라고 진행자가 된 모습을 보였다. 이를 본 오은영은 또 한번 '경고'를 날려 문희준은 사상 첫 '3포인트'를 적립하게 됐다. 이대호는 "두개 이상 올라간거 처음본다"며 놀랐다.
마지막 대결은 5분 안에 자동차 만들어 빨리 골인시키기였다. 하지만 희율이의 자동차에는 바퀴가 없었고, 문희준은 "바퀴는 왜 못찾은거냐"고 말만 할뿐 바퀴를 찾아주려고는 하지 않았다. 오은영은 "바퀴를 같이 찾아볼법한데..."라고 안타까워 했다. 결국 먼저 성공한 사람은 소은이었고, 결과적으로 희율이와 소은이 모두 승리한 것으로 대결이 끝났다.

오은영은 대결에서 이기지 못하자 서운해 하는 아이들을 보며 "이런일이 흔하다. 결과가 원하는대로 안나왔을때 시무룩해지거나 기분이 안좋아지는 경우 꽤 있다"며 "승부와 결과를 이해하는건 인지고 섭섭한건 정서다. 희율이는 정서형이니까 머리론 이해 돼도 마음은 섭섭하고 속상한거다. 그걸 '설명을 해줬는데 왜그래?'라는건 적절치 않다. 머리론 이해돼도 '서운하긴 서운하지?'라고 하면된다. 우리는 이해를 하면 마음도 다 같길 바라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체크포인트는 인교진과 문희준 각각 1개와 3개를 받았다. 오은영은 "동시에 똑같은 이유로 받은거다. 이 놀이는 같이 전략 짜서 무너지지 않게 높게 쌓기위해 협동하는게 중요하다. 그래서 하나씩 받으셨다"며 "문희준 아빠는 아이랑 같이 하셔야되는데 재판관같은 느낌이었다. 무너지니까 '부실공사네요'라고 하거나. 아마 생각이 많으셨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문희준은 "둘다 마음 쓰이면서 마지막엔 교진씨한테 의지하면서 끝났다. 아이 둘 챙기다 진땀나서"라고 털어놨고, 이민정은 "무승부 가려고 노력하시는게 보였다"고 말했다. 이에 오은영은 "어떤 생각이 들었냐면 그냥 아이한테 말하면 된다. 여기서 즐겁게 하려고 하는거라고 표현하는게 오히려 도움된다. 너무 노심초사 하면서 아이의 감정을 살피면서 비위 맞추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아이 감정을 존중해야되지만 비위 맞추는거랑은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delight_me@osen.co.kr
[사진] 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