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격자' '황해'에서 봤던 하정우의 날 것의 연기가 '브로큰'을 통해 펼쳐진다.
23일 오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영화 '브로큰'의 언론시사회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주연 배우 하정우, 김남길, 유다인, 정만식, 임성재, 김진황 감독 등이 참석했다.
'브로큰'(각본감독 김진황, 제공배급 (주)바른손이앤에이, 제작 을지기획·(주)사나이픽처스)은 시체로 돌아온 동생과 사라진 그의 아내, 사건을 예견한 베스트셀러 소설까지, 모든 것이 얽혀버린 그날 밤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끝까지 달려가는 민태(하정우 분)의 분노의 추적을 그린다. '양치기들'로 데뷔한 신인 김진황 감독의 첫 상업 영화로, '헌트' '신세계' '범죄와의 전쟁' 등 걸출한 장르물들을 제작한 장르물 명가 사나이 픽처스가 제작했다.
하정우는 극 중 동생 석태의 죽음 이후 복수와 진실을 쫓는 민태로 분해 열연했다. 신인 감독과 작업하면 대박난다는 흥행 속설을 지닌 하정우는 이번에도 신인 감독과 손잡과 새로운 작품을 내놨다. 앞서 윤종빈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 나홍진 감독의 '추격자', 김병우 감독의 '더 테러 라이브' 등 영화계를 이끄는 주요 감독들의 데뷔작에 함께하며 큰 사랑을 받은 바 있다.
"하정우가 신인 감독과 하면 잘 된다는 얘기가 있다"는 말에 김진황 감독은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 결과를 미리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하거나 마음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았다. 그 대신 하정우 선배님하고 작업하는 과정 안에서 같이 영화를 만들어간다는 느낌이 강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하는 개인적인 마음이 있다"고 했다.
하정우는 "데뷔 작품이라고 해서 신인 감독이라고 해서, 현장에서 뭐가 달라지거나 뭔가 내가 더 해야되는 부분은 없다. 기성 감독님들도 연출할 때마다 새로운 경험이다. 그 이야기 또한 신인의 마음으로, 처음하는 마음으로 하게 된다. 물론 현장에서 적응해 나가는 시간은 차이가 난다"며 "연륜과 경험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있어서 이 영화를 준비하고 이야기를 나눌 때 많이 하려고 한다. 내가 막 던지는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건 감독님의 몫이다. 이번에도 특히나 좋았던 점은 감독님과 준비를 하면서 같이 만들어간다는 말씀을 해주셨다. 굉장히 유연하게 많은 상황들은 한발자국 떨어져서 이 시나리오를 바라봐주셨다. 그래서 두서없는 나의 아이디어와 이야기였지만,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유연함을 갖고 장편 영화 데뷔를 한다는게 큰 이점이었다. 그래서 현장은 어느 기성 감독님 못지 않게 마음 편하게 작업에 임했다"며 큰 만족감을 드러냈다.

하정우는 자신의 대표작 '황해' 속 구남이가 연상된다는 말에 "민태라는 안물의 동선 자체가 누구를 쫓아가고, '황해' 구남이를 닮아 있다. 외모도 머리가 짧은 스타일에 수염을 기르고, 어떤 사람이든지 자기 외모를 가꿀 시간이 없다. 구남이도 민태도 그렇다"고 밝혔다.
이어 "나역시도 어떤 것에 몰두하고 집중하면 어떤 단장을 할 시간이 없다"며 "아마도 그렇게 외모를 방치한 모습이 구남이가 처한 상황과 비슷하기 때문에 '오버랩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하정우는 "'브로큰'을 찍을 때 코로나가 한창 들끓고, 첫 번째 파도가 지나고 나서 처음으로 촬영한 작품이 '브로큰'이다. 고립의 시간,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고 만난 첫 작품이다. 가장 먼저 떠올랐던 건 주어진 환경에 적응을 해보자는 것이었다. 주된 로케이션 촬영지가 춘천, 홍천, 강릉이었는데, 이 여정 속에서 촬영지의 냄새를 맡고, 함께 하는 배우들 눈을 보면서 '있는 만큼 표현하자'는 것이 목표였다"며 "감독님이 집필하신 시나리오 자체도 하드보일드하게 느껴졌다. 꾸밈이나 화려함이라곤 전혀 없었다. '있는 그대로 해야겠다' 싶었다. 메이크업도 하지 않고, 그저 그날 주어진 얼굴을 갖고 연기했다. 그런 고립의 표정이 나오지 않았나 예상한다"고 했다.



하정우 이 외에도 김남길은 베스트셀러 소설가 호령을, 정만식은 조직의 보스 창모를, 임성재는 민태와 한때 조직 생활을 함께했던 병규를, 유다인은 민태 동생 석태의 여자이자 비밀을 간직한 문영을 각각 연기했다.
김남길은 "베스트셀러 소설가 데뷔를 축하해주셔서 감사하다. '내 주제에 베스트셀러 작가라니..'라고 생각했다. 초반에 시나리오를 읽고 좋았던 건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인물이라서 좋았다. 역할이 크지 않아도 긴장감을 가지는 인물이라서 좋았다. 그게 과하지 않았고, 민태가 의문을 쫓아가는 과정에서, 뭔가 있는 것 같은 긴장감이 있었다. 이걸 끌고가지만 과하지 않아서 좋았다"고 밝혔다.
그는 유다인과의 관계에 대해 "문영이와 관계는 시나리오를 읽고 감독님한테 어떤 관계까지 생각하냐고 물었다. 소설을 쓰는 게 죽음의 이야기를 하는 거냐고 궁금하다고 했다. 문영이 문하생을 떠나서 내가 작가라서 인터뷰를 하며, 삶의 고독함과 고충을 인터뷰하다보니 한 여자의 인생, 그런 부분을 소설로 쓰게 되고, 인생의 책임감을 갖고 있는 입장이다. 삶을 살아가는 동료면서, 어려운 부분을 상담해준 사람, 그래서 찾아가는 사람이라고 설정했다"고 답했다.
하정우와 김남길은 '클로젯'(2020) 이후 5년 만에 재회했는데, 이에 대해 하정우는 "반가웠다. 민태 입장에선 같은 편이거나 작업하는 부분이 있었다면 흥미로웠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번에는 많이 만나지 못했다"며 "대신 후반부 터미널에서 제대로 만나게 된다. 그냥 늘 같이 함께 작업하면 신뢰하고 마음 편하다. 남길이와 같이 짐을 나눠들 수 있어서 고맙고 감사한 동료 배우"라며 애정을 표했다.
김남길은 "나도 개인적으로 반가웠고 '클로젯' 때는 같은 목표로 자주 만났는데, 여기서는 방향이 달라서 자주 만나지 못했다"며 "정우 형을 포함해 좋은 배우하고 작업한다는 건 축복 받은 일이고 행복한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우 형의 날 것 같은 이미지가 있다. '베를린' '추격자' '황해'에서 가지고 있었던 이미지와 연기를 좋아하는데, 같이 일하는 배우 입장에서 다시 만나게 돼 좋았고 반가웠다"며 미소를 보였다.
한편 '브로큰'은 오는 2월 5일 개봉한다.
/ hsjssu@osen.co.kr
[사진] 민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