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과 부쩍 가까워진 삼성전자, 기아 PBV에 맞춤형 IoT 솔루션 제공
OSEN 강희수 기자
발행 2025.02.27 17: 00

 삼성그룹의 자동차 관련 비즈니스가 최근 부쩍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지난 24일 삼성SDI가 현대차그룹과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는데, 이번에는 삼성전자가 기아 PBV(Purpose-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에 맞춤형 IoT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의 솔루션 협업 논의는 현지시간 24일, 스페인 타라고나의 타라코 아레나(Tarraco Arena)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에서 최종 마무리 됐다. ‘2025 기아 EV 데이’는 기아가 세계 각국의 자동차 담당기자들을 상대로 기아의 전동화 전략을 발표하는 글로벌 행사다. 2회째인 올해 행사는 200여 명의 취재진이 몰린 가운데 타라고나에서 성대하게 열렸다. 
기아는 이번 EV 데이에서 PBV의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 비즈니스 전략도 공개했다. 맞춤형이라고 함은 상품성 영역에 속하는 차량과 소프트웨어 영역에 속하는 솔루션이 통합된 형태를 말한다. 한 마디로 다양한 산업군에 종사하는 수요자들의 요구를 입맛대로 맞춰주겠다는 개념이다.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장에서 진행된 ‘기아 PBV-삼성전자 IoT 솔루션 기반B2B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 체결식에서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 김상대 부사장(왼쪽)과 삼성전자 B2B통합오퍼링센터 박찬우 부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상품성은 PBV 전용 플랫폼 ‘E-GMP.S’에서 구현된다. E-GMP는 세계적으로 호평 받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 플랫폼이다. 여기에 서비스의 ’S’가 덧붙어 ‘E-GMP.S’가 됐다. ’S’는 PBV 고객의 목소리를 철저하게 반영한다는 서비스 전략이다. E-GMP.S는 편평한 형태의 플랫폼 위에 다양한 어퍼 바디를 적용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콘셉트로 개발돼 향후 소형부터 대형 PBV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업 대응이 가능하다. 
이용자에게 경험 혁신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부문은 여러 사업자와의 협업이 필요하다. 삼성전자가 기아 PBV의 소프트웨어 파트너로 부상하는 건 당연한 수순처럼 보인다.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 체결식은 ‘2025 기아 EV 데이’의 비중있는 프로그램 대우를 받았다. 기아에서는 PBV비즈니스사업부 김상대 부사장이 나섰고 삼성전자에서는 B2B통합오퍼링센터 박찬우 부사장이 대표 얼굴로 등장했다. 양사는 ‘IoT 솔루션 기반 B2B 사업 협력’을 약속했다. 
사실 양사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업은 지난 해 9월 체결된 큰 틀의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당시 현대차그룹과 삼성전자는 ‘기술 제휴 및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기아 EV 데이에서 체결된 협약에 따라 양사는 기아 PBV와 삼성전자의 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Smart Things Pro)’를 연동한다. 삼성 스마트싱스로 PBV의 자동화 제어가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즉, 사용자가‘스마트싱스 프로’ 기반으로 상황에 따라 필요한 루틴을 설정하면 PBV 내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IVI(In-Vehicle Infotainment)’에서 입력한 목적지에 따라 루틴이 실행되고, 주행 중에도 쉽고 안전하게 외부 사업장 통합 관리와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된다.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장에 전시된 기아 PBV-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Pro) 기술 협업 관련 화면.
예를 들어, 베이커리 매장을 운영 중인 소상공인이 목적지를 인근 도매시장으로 입력하면 사전에 설정된 영업 루틴에 따라 ‘재료 구매 모드’가 실행되고, 구매한 재료를 신선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 냉장시설이 자동 세팅된다.
재료 구매 후 목적지를 매장으로 입력하면 ‘출근 모드’ 실행으로 매장 도착 전 에어컨, 사이니지, 오븐, 조명 등이 작동된다. 또한 운전 중에도 IVI를 통해 재고 현황과 같은 필요 업무 리스트를 미리 제공받으며 직원 없이도 영업 준비를 할 수 있다.
영업 종료 후에는 목적지를 집으로 입력해 ‘퇴근 모드’를 실행한다. 미리 공조장치가 작동된 PBV 차량을 타고 귀가하며 매장 내부 기기들의 전원이 꺼지고 에너지 절감 및 보안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이상 행동이 감지되거나 기기가 고장 나는 등 유지 보수 필요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알림도 운전 중 편리하게 IVI로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게스트 하우스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의 경우 ‘무인 영업 모드’를 실행해 별도 직원 없이도 PBV를 활용한 시설 운영이 가능하다. 운전 중에도 IVI를 통해 객실 내외부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투숙객의 예약 정보를 확인해 원격 체크인 및 체크아웃을 진행할 수 있다.
양사는 PBV 내부에 무선 제어가 가능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환경 조성을 위해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사용자는 PBV 차량 내 IVI, 태블릿 등을 활용해 센서류, 조명, 스마트플러그 등 개인이 소유한 IoT 기기를 손쉽게 통합 제어하고 에너지 관리 등의 효과도 누릴 수 있다.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장에 전시된 기아 PBV-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Pro) 기술 협업 관련 화면.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에 기반한 서비스를 자영업자·소상공인 고객을 대상으로 먼저 시범 운영한다. 이를 기반으로 PBV 특화 IoT 제품군, B2B 사업자의 요구에 맞춘 결합 상품 개발 등에도 힘쓰며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 창출, 글로벌 시장의 B2B 고객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 김상대 부사장은 “기아 PBV와 삼성전자 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 기반의 사업 협업으로 비즈니스 고객의 차량 이용 경험을 PBV 외부의 IoT 생태계까지 확장하고 새로운 고객 가치 발굴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삼성전자를 파트너로 결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삼성이 스마트싱스 프로라는 서비스를 통해 시스템과 플랫폼면에서 B2B 비즈니스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PBV로 B2B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기아로서는 최적의 협업 상대인 셈이다. 
삼성전자 B2B통합오퍼링센터 박찬우 부사장도 양사의 협력 관계를 전향적으로 반기고 있었다. 
박찬우 부사장은 “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와 기아 PBV가 만나 비즈니스 고객들에게 매장과 모빌리티가 연결된 새로운 일상을 선보이겠다”며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 B2B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매장 통합 관리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어느 쪽이 먼저 제안을 했느냐는 질문에도 두 부사장은 “거의 동시”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100c@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