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드 원위가 한층 성숙해지고 깊어진 음악을 들고 봄과 함께 돌아온다.
원위는 최근 서울 광진구의 RBW 사옥에서 정규 2집 'WE : Dream Chaser(위 : 드림 체이서)’ 발매 기념 인터뷰를 진행하고 새 앨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정규 1집 'ONE(원)' 이후 약 5년 만에 새로운 정규 앨범을 발표하는 원위는 “5년 만에 정규 2집으로 컴백을 하게 돼서 저희도 너무 기쁘지만 팬분들이 벌써 좋아하고 계신다. 그게 행복한거 같고 활동 잘 마무리하고 이번에 대중분들이 원위 노래가 좋구나 라고 인식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 시점에 정규 앨범을 내게 된 이유를 묻자 기욱은 “제가 입김을 불어넣었다. 재작년부터인가 두 형들이 군 복무를 할 때부터 정규를 내고 싶다고 했다. 형들이 전역을 하고 하다보니까 지금 타이밍에 내면 좋겠다 해서 얘기했는데 곡을 써놓은 게 많아서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원위의 이번 신보 'WE : Dream Chaser'는 앨범 타이틀처럼 꿈을 좇는 원위의 모든 것을 담아낸 앨범이다. 다섯 멤버의 개성을 반영한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예고한다. 이번 앨범 역시 11곡 전곡 멤버 자작곡으로 이루어져 원위의 한계 없는 음악적 진화를 보여준다.

강현은 “이번에 전곡 자작곡으로 이뤄져 있다. 이번에도 많은 대중분들이 들으시고 수록곡들이 하나 빠짐 없이 좋구나 원위가 노래를 잘 만드는구나 라는 인식이 깊게 박혔으면 좋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동명은 “저희는 싱글 한 곡을 내더라도 10곡은 모아서 회의를 한다. 순위가 밀린 곡들은 컴퓨터 안에만 있는데 이번 기회에 쓴 음악을 한 번에 내서 들려드리고 싶다는 생각으로 만들었다. 전곡 다 저희가 만들어서 5년 전에는 어리고 경험치가 부족했을 수 있는데 5년 동안 성숙해진 만큼 우리가 생각한 음악과 메시지를 잘 전달하고 각인시키는 활동이 됐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타이틀곡 '별 헤는 밤 (The Starry Night)'은 밝고 신나는 기타사운드가 매력적인 원위표 록밴드 곡이다. 별 헤는 밤을 보며 너와 영원히 함께하겠다는 순수한 꿈을 그렸다. 멤버 강현의 자작곡이며 기욱도 작사에 참여했다.
반 고흐의 그림을 보면서 곡 작업을 했다는 강현은 “이번에도 타이틀을 고르기 어려웠다. 처음에 작업할 때는 이번 정규 앨범 곡은 빨랐으면 좋겠어서 처음에 템포를 먼저 고르고 시작했다”며 “저희가 작년에 페스티벌을 많이 다녀서 그런지 빠른 템포의 곡이 무대에서 보여드렸을 때 어울리는 콘셉트이지 않나 생각이 들어서 빠른 템포 곡으로 선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용훈은 “이번에는 완성해놓고 들었을 때 회사분들도 저희들도 모두 이 노래는 잘 나올 수 있겠다, 만장일치로 정해서 타이틀로 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컴백과 함께 데뷔 첫 월드투어 '2025 ONEWE WORLD TOUR 'O! NEW E!volution Ⅳ''를 개최하는 원위는 아시아를 넘어 북미에서도 처음으로 공연에 나선다.
용훈은 “처음으로 가는 월드투어여서 너무 설레는 마음이 크고 저희가 미국이라는 곳 자체를 살면서 다 처음 가본다. 그 자체로 너무 큰 목표를 이룬듯한 마음이 든다. 요즘에 영어공부도 하고 있다. 준비를 하고 있고 특별 무대도 있다. 커버무대도 준비하고 있어서 미국에 계신 팬분들이 좋아해주시지 않을까 기대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원위의 인기 비결을 묻자 동명은 “제가 생각하기에는 저희가 서정적인 한국 가사들이 많다. 거의 다 한국 가사임에도 불구하고 서정적인 면들과 무대에서의 에너제틱한 모습을 좋게 생각해주시는 것 같다. 미국에 계신 팬분들은 저희를 유튜브로 밖에 못 보는데 이번에 투어를 가면 저희를 처음 보시는 거니까 셋리스트도 지역에 맞춰서 많이 준비를 하고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용훈은 “소망이 있다면 제가 생각하는 원위의 꿈은 2025년 연말에 공연을 하게 되면 지금 공연장보다 한 단계 큰 공연장에서 하는게 꿈이다. 올해는 저희가 6월에 예스24홀에서 하는데 연말에는 올림픽 홀에서 해보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 하나씩 키워가면서 꿈을 이루고 싶다”며 "먼저 ‘별헤는 밤’으로 정주행을 했으면 좋겠고 그렇다"고 전했다.
이어 동명은 “예전에는 조급한 마음이 있었는데 이제는 언젠가는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언젠가는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용기가 있다”고 덧붙였다. /mk3244@osen.co.kr
[사진] RB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