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USIM, 가입자식별모듈) 교체 물량 확보에 실패한 SK텔레콤이 차선책으로 ‘유심포맷’ 방안을 내놓았다.
SKT는 29일,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겠습니다'라는 제하의 자료를 배포하면서 "유심 소프트웨어 변경(유심포맷) 방식을 5월 중에 개발해 유심 재고 문제 해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 실시 하루만에 유심 재활용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 조치가 애초에 불가능한 방안이었음을 SKT가 자인한 꼴이다. 차선책으로 제시한 ‘유심포맷’ 또한 시스템이 개발 완료된 게 아니다. "5월 중에 개발하겠다"는 약속인데, 이 또한 보장된 건 없다.
‘유심포맷’ 시스템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가입자들은 SK텔레콤 직영점이나 대리점을 방문해야 한다. SKT는 29일 "유심포맷도 매장을 방문해 유심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했다.
‘유심포맷’은 유심을 물리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방식이다. SKT에 따르면 이 방식으로 유심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한다. 고객들의 기기에서 유심을 꺼내 기존 유심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해 다시 끼워준다는 얘기다.
SK텔레콤은 이와 함께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도 처리용량을 크게 늘렸다며, ‘유심보호서비스’의 조속한 가입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SKT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29일에는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5월 초까지 1500만 명 정도가 서비스에 가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100c@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