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백상에서도 지상파 콘텐츠의 존재감은 적었다.
지난 5일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열린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MBC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방송 부문 연출상(송연화 감독)과 여자 신인 연기상(채원빈)을 수상하며 2관왕을 차지했다. 쟁쟁한 콘텐츠의 홍수 속 값진 트로피 두 개를 따냈다.ㅏ
‘중증외상센터’ 하영, ‘폭싹속았수다’ 김태연 등을 제치고 트로피를 든 채원빈은 “노미네이트만으로도 영굉인데 상까지 주셔서 몸둘 바를 모르겠다. 정말 아버지 같았던 한석규 선배님, 존경하는 선배님들 동료들 덕에 정말 많이 배웠다. 연기 평생 하고 싶다. 묵묵히 성실히 연기하겠다”고 벅찬 소감을 밝혔다.
올해 백상에서도 OTT와 케이블 채널이 주요 부문을 휩쓴 가운데, 드라마·예능 부문 모두 지상파는 고전했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의 2관왕을 제외하면 그나마 SBS ‘굿파트너’ 장나라가 방송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김준한이 남자 조연상 후보에 이름을 올리며 그나마 체면을 차렸다.

하지만 이 두 작품 외에는 KBS를 포함한 다른 지상파 드라마는 주요 부문 후보에서 전멸, 콘텐츠 경쟁력 약화를 다시 한번 실감케 했다. 넷플릭스의 절대적 강세 등 OTT 콘텐츠의 급성장 속 시청자 이탈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예능 부문 역시 지상파의 부진은 이어졌다. 올해 예능 작품상 후보에는 tvN ‘무쇠소년단’, 엠넷 ‘스테이지 파이터’, 유튜브 ‘아조씨의 여생’, 유튜브 ‘풍향고’,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요리계급전쟁’이 이름을 올린 것. KBS, MBC, SBS 등 지상파 예능은 단 한 작품도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 '흑백요리사'가 방송 부문 대상을 차지한 것과 명확하게 대비된다.
시청률과 영향력 모두에서 과거와 같은 위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장르와 플랫폼의 다변화 속에서 지상파 콘텐츠가 다시 중심에 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comet568@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