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축구가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위르겐 클린스만 전 한국 대표팀 감독이 중국 축구대표팀의 차기 사령탑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소후닷컴은 4일(이하 한국시간) “중국 대표팀의 감독직이 한 달 가까이 공석 상태”라며 “다양한 후보 가운데 클린스만이 잠재적인 선택지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중국 대표팀은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본선 진출에 실패한 뒤 브란코 이반코비치 감독과 결별했다. 이후 2030 월드컵을 목표로 재정비에 나섰지만 2025 동아시안컵에서 주르제비치 감독 대행이 이끈 대표팀은 성과를 내지 못하며 정식 선임이 불발됐다.
중국축구협회는 새로운 감독에게 네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젊은 연령, 뚜렷한 철학과 성공 경험, 아시아 축구 경험, 그리고 코칭스태프 전체 연봉이 200만 유로(32억 원)를 넘지 않는 급여 제한이다.
후보군에는 이미 파울루 벤투 전 한국 대표팀 감독, 카를로스 오소리오 전 멕시코 대표팀 감독, 파비오 칸나바로 전 광저우 에버그란데 감독, 로저 슈미트 전 벤피카 감독 등이 포함돼 있다. 여기에 클린스만의 이름도 추가됐다.
클린스만은 한국 대표팀을 이끌 당시 전술 부재, 선수단 관리 실패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아시안컵에서 우승에 실패했을 뿐 아니라, 대회 직후 일부 선수들에게 성적 부진의 책임을 돌리며 여론의 역풍을 맞았다. 그 전에도 독일과 미국 대표팀에서의 지도력 논란이 이어지는 등 실패 사례가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중국 내에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지만 일부 팬들은 “그래도 월드컵 4강에 간 경험이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환영한다는 반응도 보이고 있다.
중국 대표팀의 차기 감독 인선 작업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클린스만이 실제 후보군 최종 명단에 포함될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언급됐다는 사실만으로도 중국 축구 팬덤과 현지 언론의 관심은 뜨겁다. / 10bird@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