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탈(대표 박종진)이 18일 코엑스에서 개막한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2025에서 교육 현장 특화형 인공지능 솔루션 ‘스마트 스터디 엣지AI(S2 Edge AI)’를 선보였다.
이번에 공개된 ‘스마트 스터디 엣지AI’는 학생 발언을 문자로 기록하는 음성 인식(STT)과 토론 수업 평가 기능 등을 갖췄다. 모든 기능은 인터넷 연결 없이 학교 전산실에 설치된 GPU 기반 엣지AI 서버에서 직접 실행된다. 이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없고, 외부 토큰 사용료도 발생하지 않아 학교가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시스템 개발에는 연세대학교 AI혁신연구원 AI에듀테크센터(센터장 김남주 교수), 국립한밭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소장 최창범 교수), ㈜시뮬테크(대표 함규식)가 공동 참여했다. 이들은 노탈과 함께 교사 지원형·토론 분석형 AI 소프트웨어를 연구해 공정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육 지원 도구를 개발했다.
하드웨어는 사회적기업 ㈜라인피아가 담당한다. 라인피아는 엣지AI에 최적화된 장비를 설계·생산하고, 공공 조달을 위한 직접생산 인증 절차도 진행 중이다. 사회적기업 제품 특성상 일선 학교들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도입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노탈은 단순한 교육용 AI를 넘어, 개방형 온디바이스 엔진을 탑재한 점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토론 수업 평가뿐 아니라 코딩 교육, 로봇 제어 등 AI 연산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업들도 학교 내 설치된 ‘스마트 스터디 엣지AI’를 활용할 수 있다. 즉, 학교 현장에서 GPU 기반 엣지AI 서버의 연산 능력을 공유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는 설명이다.
현장을 찾은 교사들은 “학생들의 토론 참여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업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고, 업계 관계자들은 “클라우드 의존도를 줄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평가했다.
박종진 대표는 “학교와 교사가 원하는 교육용 앱을 자유롭게 연동할 수 있는 엣지AI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며 “데이터 주권과 교육비 절감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100c@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