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탁 감독이 '김 부장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만화 '슬램덩크' 캐릭터에서 따오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22일 오후 서울 구로구 더 링크호텔에서는 JTBC 새 토일드라마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이하 ‘김부장 이야기’) 제작발표회가 진행됐다. 제작발표회에는 조현탁 감독과 배우 류승룡, 명세빈, 차강윤이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는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한 모든 것을 한순간에 잃어버린 한 중년 남성이 긴 여정 끝에 마침내 대기업 부장이 아닌 진정한 본인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다.

해당 작품은 송희구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다만 원작에서는 캐릭터들이 '김 부장', '송 과장', '정 대리', '권 사원' 등 이름 없이 직함으로 표현되는 바. 그 반면 드라마화 과정에서 김낙수, 박하진, 김수겸과 같은 주인공 가족들을 비롯해 송익현, 정성구, 도진우, 이정환, 이한나 등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만화 '슬램덩크' 캐릭터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와 눈길을 끌었다.
이와 관련해 조현탁 감독은 "사실 저도 '슬램덩크'의 엄청난 팬인데, 극중 캐릭터들의 이름으로 존재할 줄 몰랐다. 뒤늦게 알게 됐다. 저희 작가님이 워낙 슬램덩크의 수퍼 찐 팬이어서 애정으로 시작하다가 점점 확장된 것 같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 '서울 자가', '대기업'과 같은 요소들이 일반 대중들의 입장에서 거리감을 느낄수 있음에도 원작 제목을 그대로 가져온 이유를 묻자 "제목에서 느껴지는 뉘앙스가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을것 같다. 어떤 분들은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그 정도면 성공한 사람 아닌가?', 또 어떤 분들은 '그 정도는 돼야 일반적인 중산층이다'라고 느낄 수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실제로 원작에서 느껴지는 호기심, 순수한 궁금증이 있더라. 흔해보이지만 진짜 어떤 사람인가. 그런 사람들은 어떻게 가정 꾸리고 어떤 마음으로 살고 있고 가족 구성원들은 아버지를 어떻게 생가각하고 있나. 또 본인은 어떻게 생각하나. 한명의 특별한 케이스지만 그 케이스가 깊게 그 가족 안으로 들어간다면 과장이지만 모든 사람을 대변할수 있다 생각했다. 그래서 순수한 호기심으로 원작 제목을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인공이 50대 중년의 부장님 이야기인데 2030 시청자들이 이 이야기에 이입할수있나, 감정 이해할수 있나. 지금 세대간의 단절된 전 세계적 흐름도 있을텐데 그렇기때문에 드라마가 그런걸 메꿀수 있고 약간의 답은 아니지만 대안 제시할수 있는 작품 있으면 좋겠다는게 평소 제 생각이었다. 그렇다고 이 드라마가 그냥 주인공이 50대라서 그걸 담았다 하면 무책임하다. 그걸 디테일하게 사람들이 느낄수 있고 때로는 실컷 재밌게 웃다 한순간 울컥할수 있고. 그게 내가 아는 누군가의 이야기일수 있다는걸 디테일하게 담으려고 최선 다했다"고 공감 포인트를 짚었다.
한편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는 오는 25일 밤 10시 40분 첫 방송된다.
/delight_me@osen.co.kr
[사진] OSEN 박준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