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트넘에서 일어난 '감독 무시 논란'에 잉글랜드 전설이 일침을 가했다. 
 토마스 프랭크 감독이 이끄는 토트넘은 2일(한국시간) 영국 런던의 토트넘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2026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EPL) 10라운드 홈 경기에서 첼시에 0-1로 패했다.
 영국 '풋볼 런던'에 따르면 이날 토트넘은 XG(기대득점) 0.05를 기록했다. 이는 13년 전 통계 기록이 시작된 이후 클럽 역사상 최저 수치다. 토트넘은 슈팅 단 3개만 때렸고 그 중 유효슈팅은 1개뿐이었다. 슈팅은 모두 모하메드 쿠두스만 날렸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03/202511030955776171_690800a9d85c2.jpg)
![[사진] SNS](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03/202511030955776171_6907fdb2b4524.jpeg)
첼시전 무기력 패배도 문제였지만 경기 직후 팬들 앞에서 펼쳐진 '감독 무시' 장면이 더 충격적이었다. 프랭크 감독이 팬들에게 인사를 하라고 지시했으나 미키 반 더 벤과 제드 스펜스는 이를 무시하고 터널로 향했다. 
 소셜 미디어(SNS)에 공개된 팬들의 촬영 영상을 보면 반 더 벤은 프랭크 감독의 지시도 무시한 채 고개조차 돌리지 않았다. 스펜스는 감독을 지나치며 뭔가 불만 섞인 말을 계속 중얼댔다. 둘은 코칭스태프의 만류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무례한 모습을 보였다.
 ![[사진] 미키 반 더 벤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03/202511030955776171_690800aa71a7a.jpg)
![[사진] 제드 스펜스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03/202511030955776171_690800aaca973.jpg)
반 더 벤과 스펜스는 모두 첼시의 결승골 장면에 직접 관여한 만큼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스펜스는 박스 근처에서 불필요한 드리블을 하다 두 번이나 공을 잃었다. 반 더 벤은 위험 지역에서 공을 걷어내지 않았다가 결국 공을 빼앗기고 실점했다. 
 프랭크 감독은 경기 후 "모두 좌절했기 때문"이라며 선수들을 감쌌다. 하지만 "선수들은 이기고 싶고, 잘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좋은 시기든 나쁜 시기든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 프랭크 감독의 표정은 이미 굳어 있었다. 
 이에 영국 BBC 전문가로 출연한 잉글랜드 전설이자 프리미어리그 최다 득점 보유자인 앨런 시어러는 "오늘 토트넘은 정말 창피했다. 팬들의 야유를 받으며 경기장을 떠났다"고 평가했다.
 ![[사진] 앨런 시어러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03/202511030955776171_690800ab36949.jpg)
이어 그는 "빨리 라커룸에 들어가서 '미안하다'고 말하고 싶었을 수도 있다. 그 마음은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프랭크 감독이 팬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어 하는 마음도 이해한다"고 밝혔다.
 시어러는 "선수들이 형편없는 경기를 하고 빨리 빠져나가고 싶었겠지만, 프랭크가 '작은 문제'라고 한 데는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잘해야 한다. 그게 핵심이다. 더비 경기에서 부진했다면 경기력으로 답해야 한다"고 토트넘 선수들을 질타했다.
 함께 출연한 웨일스 대표팀 주장 출신 애슐리 윌리엄스(41) 역시 "그것은 감독이나 팬을 향한 개인적인 불만이 아니다"면서 "단지 그 순간엔 안으로 들어가고 싶었을 뿐"라고 선수들의 감정적 반응을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장면은 손흥민(33, LAFC)이 주장으로 있던 시절에는 결코 찾아볼 수 없었던 장면이었다. 손흥민은 설사 경기에 패하더라도 서로를 다독이게 했다. 또 경기장을 찾은 팬들에게 먼저 다가가 고마움을 전했다. 이번 논란은 토트넘의 리더십 부재를 설명하는 장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letmeout@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