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트넘 훗스퍼의 홈 구장이 더 이상 예전의 열기를 품지 못하고 있다. 손흥민이 떠난 뒤 급격히 식은 분위기와 구단의 고가 티켓 정책이 겹치면서, 텅 빈 좌석이 가시적으로 늘어났다. 결국 공식 서포터즈 조직이 정면으로 나서 구단을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던졌다.
영국 풋볼 런던은 13일(한국시간) “토트넘 훗스퍼 서포터즈 트러스트(THST)가 구단 티켓 정책 전반에 대해 공식 항의 서한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토트넘 훗스퍼 스타디움은 6만 2850석의 유럽 최고급 시설을 자랑하지만, 관중 감소 속도 역시 그 규모 못지않게 빠르다.
올 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홈 경기부터 이상 신호가 드러났다. 가디언에 따르면 비야레알전 관중은 5만 4755명에 그쳤고, 코펜하겐전에는 4만 9565명만 입장했다. 1만 석 이상이 비어 있는 장면이 반복된 셈이다. 경기의 무게감과 대회 위상을 고려하면 쉽게 보기 힘든 기록이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4/202511140840771947_69166d9a6c4e7.jpg)
관중석의 침묵은 성적으로도 이어졌다. 토트넘은 올해에만 홈에서 치른 20경기 중 3경기만 승리하며 리그 최악 수준의 홈 경기력을 보이고 있다. 분위기는 더 싸늘해졌다. 토트넘의 홈 경기가 더 이상 ‘가볼 만한 경기’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논란이 거세지자 THST는 결국 직접 성명을 내고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렸다. 이들은 “최근 몇 시즌 동안 경기장 분위기가 눈에 띄게 무너졌다. 빈 좌석이 너무 많고, 특히 젊은 팬들이 티켓값을 감당하지 못해 관중석에서 사라지고 있다. 관중이 줄면 응원도 함께 꺼진다”고 직격했다.
이어 “이전에는 높은 성적과 스타 영향력, 특히 해리 케인과 손흥민의 존재가 이런 문제를 가려왔다. 수천 명의 한국 팬들이 매 경기 ‘성지순례’처럼 찾아오며 좌석을 채웠다. 그러나 이번 시즌에는 그런 환상마저 완전히 사라졌다.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도 빈자리가 수천 개씩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4/202511140840771947_69166d9af0832.jpg)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4/202511140840771947_69166d9b92f33.jpg)
THST는 구단에 ▲ 18~25세 청년 요금제 확대 ▲ 전 경기 청년층 할인 적용 ▲ 현실적인 가족석 운영 등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단순한 ‘불만 표현’이 아니라 구조 개선을 요구하는 메시지였다.
이번 서포터즈 성명은 티켓 논란을 넘어, 손흥민 이적 이후 급속히 무너진 토트넘의 홈 분위기와 팬 문화의 균열을 드러내는 경고음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몇 년간 ‘스타 파워’와 ‘성지순례’ 열기에 의존해 가려졌던 문제들이 결국 한꺼번에 드러난 셈이다. 구단이 어떤 대응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린다. / 10bird@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