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이 떠난 자리가 생각보다 훨씬 컸다. 10년 넘게 프리미어리그를 누비며 경기장 안팎에서 상징이 됐던 그의 영향력은 단순한 스타 선수를 넘어 ‘토트넘 시스템’ 전체를 지탱하던 축이었다. 손흥민이 떠난 뒤 토트넘의 분위기는 예측했던 것보다 빠르게 그리고 깊게 무너지고 있다.
영국 현지에서도 그 공백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유니폼과 굿즈 판매는 급격히 줄었고, 입장료·스폰서·중계권 등 구단 운영 핵심 지표도 흔들렸다. 손흥민과 케인이 동시에 빠져나간 뒤 토트넘은 스타 파워를 잃은 구단이 얼마나 빠르게 흔들릴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팀이 됐다.
13일(이하 한국시간) 풋볼 런던은 토트넘 공식 서포터즈 단체가 구단 운영 방식에 강하게 항의하는 서한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그들은 “토트넘 스타디움의 분위기가 눈에 띄게 침체됐다”며 “특히 젊은 세대 팬들이 비현실적인 티켓 가격을 감당하지 못해 경기장을 떠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5/202511151039772742_6917da9536bf8.jpg)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5/202511151039772742_6917da95b851c.jpg)
그러면서 “지난 몇 년간 케인과 손흥민이 이 문제를 가려왔다. 수천 명의 한국 팬들이 성지순례처럼 찾아오며 경기장을 채웠다. 그러나 이번 시즌 그 환상은 완전히 사라졌다. 챔피언스리그에서조차 빈자리가 수천 석씩 생긴다”고 했다. 최고 시설의 경기장을 갖고 있어도 관중이 없다면 “반쪽짜리 집에 불과하다”며 구단을 겨냥했다.
토트넘이 리그 우승 한 번 없이도 PL 톱클래스 흥행 지표를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엔 분명 손흥민이 있었다. 그는 단순한 아시아 출신 스타가 아니다. 아시아 전역에서 동원력을 가진 유일한 EPL 슈퍼스타였고, 한국 팬들의 원정 응원은 토트넘 수익 구조의 한 축이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5/202511151039772742_6917da965ddd1.jpg)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11/15/202511151039772742_6917da96ef822.jpg)
또 다른 팬 마이크 폴은 “손흥민은 여전히 토트넘의 일부로 남아 있다. 그는 아시아 선수도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고 했다. 일본인 팬 사사키는 “잉글랜드 축구 역사상 최고의 아시아 선수”라며 “일본인으로서도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 10bird@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