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블루스’는 초호화 캐스팅으로 화제를 모았다. 화려한 캐스팅 사이 낯설지만 그 누구보다 강렬하고 활활 불타는 에너지를 폭발 시킨 배우가 있다. 차갑지만 뜨거운 배우 최영준을 만났다.
14일 오후 서울시 강남구 한 카페에서 진행된 tvN ‘우리들의 블루스’ 종영 인터뷰에 최영준이 함께 했다.
‘우리들의 블루스’는 인생의 끝자락 혹은 절정, 시작에 서 있는 모든 삶에 대한 응원을 담은 드라마로, 따뜻하고 생동감 넘치는 제주, 차고 거친 바다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시고 달고 쓰고 떫은 인생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전하는 작품이다. 최영준은 극 중 제주도 오일장에서 얼음을 파는 얼음 장수 방호식 역을 맡았다.
최영준은 ‘우리들의 블루스’ 캐스팅에 감사했다. “박지환과도 천운이 온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라며 “앞선 작품에서 저를 많이 찾아주셨다. 부름을 받아서 갈 때마다 보여준 게 없는데 왜 하자고 하는지 이상했다. ‘우리들의 블루스’를 하고나서는 내 연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제 것을 마음 편히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 된 것 같다. 언제 제가 노희경 작가의 글을 말로 표현해 보겠는가”라고 감사함을 표현했다.
최영준은 딸 역할을 한 노윤서 뿐만 아니라 인권 역을 한 박지환과 환상의 호흡을 보여줬다. 실제로도 두 사람은 절친이다. 최영준은 “저희는 평소에도 서로 ‘내 사람’이라고 부른다. 어제도 인터뷰 때 내 이야기 했다고 링크를 보내주면서 ‘너랑 사랑의 대화를 나누면서 소주 한 잔 하고 싶다’고 한다. 배우로서 도움이 많이 된다. 지금 찍으면서 어려운 것이 있으면 박지환에게 털어놓는다. 순수하고 어울리지 않는 것을 다 가져다 붙이면 박지환이 된다. 심지어 예쁘다. 예쁘게 보일 때가 있다. 그걸 감추고 연기하는 것도 대단하다”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박지환과는 몸싸움도 많이 하며 처절하게 연기했다. 최영준은 “박지환이 저를 세 번 밟으면 동네사람들이 말리는 장면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밟지 않는게 티가 나서 실제로 밟아야하는 상황이 됐다. 실제로 밟으니까 호흡이 안맞아서 몇 번 더 밟아야했다. 이 사인이 안맞아서 진짜 밟히기도 했다. 그런 것치고 빨리 잘 찍었다. 박지환이 몸을 잘쓴다”라고 계속 칭찬했다.
박지환과 최영준은 전혀 다른 연기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최영준은 “박지환과는 정말 다르다고 생각했다. 책 읽는 방식부터 표현하는 것 까지 끝까지 다르다. 정말 결이 다른 배우라는 생각을 했다. 전작들에서 제가 참고 연기를 하는 편이었다. 그게 습관이 되다 보니까 내놓는 것이 두려웠다. 박지환은 뚜껑을 열어놓고 연기를 한다. 뭐든 해본다. 해서 보여주고 나서 위에서 추스려주는 방식으로 연기한다. 저는 정돈된 테이크를 가져간다. 보기에 무리가 없는 것일 뿐 잘하는 것은 아니다. 아쉬움은 남겨놓고 편이다. 박지환은 그게 아니다. 나중에는 같이 하고 그랬다. 이래도 안 혼나는구나 하면서 생각이 들었다”라고 털어놨다.
노윤서 역시 최영준과 놀라운 호흡을 보여줬다. 최영준은 “정말 똑똑하다 연기를 가지고 이야기 하지 않았다. 만나지는대로 해보자 뭘 해도 상관 없으니 해보자고 했다. 연기하는 시간이 방해받거나 하는 것에대해서 그렇지 않도록 자기가 잘 컨트롤 했다. 자기가 준비되면 시작했다. 선배나 수많은 스태프 앞에서 시간 쓰는게 쉽지 않은데 그렇게 하는 것이 용기가 있다. 그런 모습이 좋았다. 저 친구가 잘 나와야 아빠도 잘 나온다. 잔소리를 하거나 걱정을 하거나 그런 말은 해본적은 없었다. 드라마 나가면 쟤는 잘 될 것이다 하면서 봤었다”라고 말했다.

노희경 작가도 최영준의 연기를 호평했다. 최영준은 “7회 나가고 나서 모르는 번호가 전화가 왔다. ‘노희경이예요’라고 하더라. 그래서 걷다가 두손으로 전화를 받았다. 작가님이 ‘어떻게 봤어’, ‘잘 봤습니다’, ‘엄마는 뭐라셔’ 어머니도 재미있게 보셨다. ‘우셨어?’ 같이 안봤다. ‘에이 뭐야 잘했어요. 잘한건 기억하시고 못한건 반성하세요’라고 했다. 그정도였다. 일부러 전화를 해주셔서 감사했다. 작가님이 제일 무서웠다. 종방연을 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어려웠다. 작가님이 좋은 이야기를 해주셨을 때가 마음도 놓이고 좋았다”라고 감사함을 전했다.
이어 그는 “작가님이 저한테 했던 말이 ‘잘하면 수혜를 받을 것이고 못하면 끝이라고 보면 된다’고 했다. 그 배우들 사이에서 조금만 못해도 제일 많이 티가 날 것이다. 제일 걱정했던 것은 이병헌과 김우빈이 나오다가 제가 나올 때, 뭐야라는 생각을 할 까였다. 좋은 연기가 안나가면 눈을 돌릴 것이다라는 책임감이 있었다. 다행히 제가 나온 회차가 잘 나와서 안도했다”라고 당시를 떠올렸다.
‘우리들의 블루스’로 알아보는 사람도 칭찬하는 사람도 많아졌지만 최영준은 영향 받지 않겠다고 했다. 최영준은 “떠 있지 않으려고 하고 가라앉아 있지 않으려고 한다. 어릴 때 고생을 많이하고 울기도 많이 울고 밥도 굶어서 그게 싫다. 어느 순간 느낀 것이 기분 나쁜 채로 있어보니까 일어날 수 있는 힘이 없다. 그것을 안하려고 하다보니까 더 그런 것이다. ‘블루스’가 또 얼마나 가겠나. 더 안될 수 도 있다”라고 차분하게 진심을 털어놨다.
그는 인기 보다 배우라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모습을 보였다. “일을 어떻게 해야지 보다 이 직업이 어떤 직업이지 라는 생각을 한다. 이 일을 오래 하는 방법을 찾는게 더 좋다. 제가 제 일을 하려는 방법을 찾는다. 혼자 있는 시간을 많이 갖는다. 최근에 저를 만나면 칭찬을 한다. 좋은 이야기만 찾아다니는 것 같아서 그런 자리를 피한다. 저는 제가 갈 수 있는 저만의 길을 걸어야 한다”라고 진지하게 말했다.
그 누구보다 단단한 연기 내공을 가지고 자신만의 연기를 보여준 최영준은 연이어 화제가 되는 작품에 출연 하고 있다. 배우는 다음 다음 작품에서 평가 받는다는 그의 다음 작품도 그 다음 작품도 궁금해진다./pps2014@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