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마운트와 티빙이 손을 잡았다. 단순히 티빙을 통해 파라마운트+가 공개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작과 투자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헤일로’, ‘욘더’ 등 한국 배우가 출연하고 한국 감독이 연출하는 작품들을 시작으로 앞으로 성장세가 궁금해진다.
16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한 호텔에서 진행된 티빙X파라마운트+ 미디어데이에 파라마운트 중앙・북유럽, 아시아 총괄대표 마크 스펙트(Mark Specht), 파라마운트 아시아 사업 및 스트리밍 대표 박이범, 티빙 양지을 대표, 파라마운트+ 오리지널 시리즈 ‘헤일로’에 출연한 배우 하예린과 공정환, 공동투자작인 ‘욘더’의 이준익 감독이 참석했다.
마크 스펙트 총괄 대표는 아시아에서 최초로 파라마운트+를 론칭 하게 된 이유를 공개했다. 마크 스펙트는 “대한민국은 OTT와 컨텐츠로 세계 무대를 휩쓰고 있다. 오늘의 론칭은 미래 OTT 사업의 이정표다. 라틴 아메리카, 호주 및 캐나다 북유럽에서 서비스 되고 있다. 60개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파라마운트+는 한국에서 티빙과 파트너십을 통해서 오리지널 시리즈 공동제작과 유통 업무를 함께 할 것이다. 한국의 컨텐츠와 문화가 전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아시아는 OTT 사업의 미래다. OTT 사업에 성공하고 규모를 키우고 싶다면 꼭 진출 해야한다. 한국은 파라마운트+ 첫 진출지로 완벽하다”라고 평가했다.
파라마운트+를 통해 한국 콘텐츠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마크 스펙트는 “제작사와 작가와 감독 등 현지 인재를 육성하고 진실된 이야기와 목소리 듣기를 원한다. 한국은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문화를 갖추고 있다. 이전의 발표 했지만 CJ ENM과 함께 영화관에 개봉하는 영화와 OTT 영화를 함께 만들 것이다. 티빙과 공동투자한 ‘욘더’는 한국과 전세계에 하반기에 공개될 예정이다. 파라마운트의 리얼리티쇼를 한국작품으로 리메이크 하고, 현지 콘텐츠 투자에 접근해서 탄탄한 작품을 만들고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스트리밍 서비스로 만들 것이다”라고 포부를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파라마운트+ 오리지널 시리즈에 출연하는 하예린과 공정환이 함께 했다. 하예린은 외계 종족의 커버넌트에 의해 가족을 잃고 유일한 생존자가 된 관하 역을 맡았다. 공정환은 관하의 아버지인 진하 역할을 맡았다.
하예린은 호주 출신 이자 배우 손숙의 외손녀로 활동 중이다. 하예린은 “대학 졸업 공연 리허설 중에 선배가 ‘헤일로’ 오디션 소식을 알려줬다”라며 “오디션을 보고 7개월만에 역을 맡게 됐다”라고 말했다. 공정환 역시 오디션을 통해 ‘헤일로’에 합류하게 됐다.
공정환은 원작인 게임 ‘헤일로’에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웠다고 밝혔다. 공정환은 “‘헤일로’라는 것을 알았지만 게임을 해보지는 않았다. 어떻게 표현해야할까 고민도 많았다. 이 캐릭터 자체가 게임에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다. 그래서 힘든 점이 있었다. 외국 드라마에서 한국적인 아버지처럼 보이게 하려고 노력했다. 마스터 치프를 연기하는 파블로가 거대한 배우여서 규모와 사이즈에 놀랐다”라고 심경을 전했다.

하예린은 ‘헤일로’에서 반란군의 리더인 진하의 딸 관하 역을 맡아서 연기했다. 하예린은 ‘리프 브레이크’로 데뷔해서 시드니 연극 ‘파리의 제왕’ 등에 출연했다. 하예린은 배우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어릴 때부터 한국을 자주 오려고 했다”라며 “할머니의 연극 어릴 때부터 봤었다. 신기하고 관객이 울고 웃고 이런 반응을 보니까 연극을 통해서 다른 사람을 흔들 수 있는 배우의 작업이 신기했다. 계속 그 길을 따라갔다. 많은 시청자들이 볼 수 있는 드라마에 출연해서 영광이고 동양 배우로서 더 열심히 하고 있다. 배우로서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노력 중이다”라고 전했다.
하예린은 ‘헤일로’ 출연을 위한 준비 과정도 털어놨다. 하예린은 “운동을 엄청 많이 했었다. 그리고 ‘헤일로’ 세계를 공부했다. 이 인류는 어떻게 세계에 들어갔는지 연구했다”라고 설명했다. 공정환은 “‘헤일로’라는 미드에서 한국의 모습이 어떻게 보여지는지 기대해주기를 바란다”라고 했다.
이준익 감독은 파라마운트+ 오리지널 ‘욘더’에 대해 설명했다. 이준익 감독은 “사람이 죽으면 매장하거나 화장하거나 제사를 지내거나 기도를 한다. 죽은 자들은 천국을 가거나 지옥을 간다. 삶은 복잡하지만 죽음을 간단하게 처리해왔다. 인간은 기억함으로 존재한다. 기억하는 존재로 다시 사는 존재가 된다. 그런 이야기 였다. 죽음은 삶을 가치있게 바라보기 위해서 연구한다. 불행을 알아야 행복의 가치가 소중하다.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이야기를 통해 접근했다”라고 말했다.
‘욘더’에는 신하균, 한지민, 이정은, 정진영 등 탄탄한 연기력을 갖춘 배우들이 출연한다. 이준익 감독은 “신하균은 20대 시절 ‘간첩 리철진’의 제작자로 만났다. 신하균이 40대 배우가 된 시점에서 깊이와 존재감이 발휘 된다고 생각한다. 언젠가 다시 한 번 해보고 싶은 배우를 이번에 만나게 됐다. 한지민은 잘 몰랐었다. 워낙 멜로 연기가 훌륭한 업적이 있다. ‘욘더’에서 아내 역할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진폭이 크다. 매 순간 그런 감정을 잘 전달 했다. 어렵고 복잡한 줄거리를 연기적으로 풀어내는 배우다. 어려운 이야기를 연기로 쉽게 전달 해줘서 정말 고맙다”라고 전했다.
이준익 감독의 ‘욘더’는 남다른 소재를 다루고 있다. 이 감독은 “소재가 가지고 있는 독특함 때문에 삶과 죽음과 행복과 불행을 이야기 한다. 단정 짓고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이야기다. 줄거리로 설명해서 가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관계를 통해서 관계의 감정 이동을 통해서 느끼게 한다. 미묘하게 설명할 수밖에 없다. 그것이 이해될 수 있게끔 개연성이나 과학적 근거와 삶과 죽음을 다뤄왔던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요소들까지 전달하고자 했다”라고 털어놨다.

오랜 기간 영화 감독으로 살아온 그는 ‘욘더’를 통해 깊고 심오한 이야기를 표현하고 싶다고 했다. 이준익 감독은 “작업하는 입장에서 영화와 OTT를 찍을 때는 차이는 없다. 2시간에 영화를 압축하는 것과 6부작 드라마에 나누어서 밀도 있게 전개하는 것은 다르다. 적어도 영화 보다는 깊이 있게 어려운 이야기를 심오하게 들어갈 수 있다. 영화에서는 건너갈 신들이 아주 집요하게 내면까지 파고들어갈 수 있다. 그래서 ‘욘더’를 영화가 아니라 드라마로 만들었다”라고 밝혔다.
이준익 감독은 한국의 이야기가 곧 글로벌 컨텐츠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이 감독은 “글로벌을 생각하고 영화를 만들지 않다. 우리나라도 100년간 서양의 문화를 열심히 배우고 따르고 추월하기도 했다. 우리의 이야기로 밀도있게 잘 만들면 문화와 역사를 뛰어넘어서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잘 만들어야한다. 굳이 글로벌을 생각하는 것은 지나치게 조작적이고 계획적이다. 본질에 어긋날 수 있다. 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본질에 집중해야한다”라고 털어놨다.
이준익 감독은 한국 컨텐츠의 지속을 위해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감독은 “대한민국은 오픈스튜디오가 없다. 규모 있는 시설의 오픈 스튜디오가 절실하다. 실내 스튜디오도 마찬가지로 필요하다. 프로덕션 파트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래야 글로벌 컨텐츠를 지속 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에 대한 투자와 시설에 대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파라마운트 아시아 스트리밍 박이범 대표와 티빙 양지을 대표의 OTT 시장에 대한 질의 응답도 이어졌다. OTT 위기설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양지을 대표는 한국에서 성장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했다. 양 대표는 “우리나라는 아직 IPTV 가입자 절반 이하의 가입자가 유료 가입 하고 있다. 엄청난 잠재 시장이 있다. 국내 OTT로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과제도 있다. 잠재 시장은 무한하다. 저절로 시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티빙이나 파라마운트나 OTT 사업자들이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달라질 수 있다. 좋은 작품으로 찾아뵙는다면 시장은 성장할 것이다”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양지을 대표는 한국이 전세계 OTT 시장에서 중요한 시장이라고 밝혔다. 양 대표는 “컨텐츠나 기술이나 서비스나 한국에서 성공하지 않으면 다른 나라에서 성공하기 어렵다는 공식이 있다. 국내에서 대표적인 사업자가 되서 글로벌 진출을 하겠다. 파라마운트가 한국 시장에서 성공하고 싶은 마음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라고 밝혔다.
박이범 대표는 파라마운트가 티빙을 파트너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컨텐츠로 다양해지고 볼거리도 많아지고 보완하면서 추가적으로 큰 밸류를 줄 수 있는 한국 컨텐츠가 중요한 시장이다. 한국 컨텐츠에 있어서 잘 하고 있는 플랫폼이 티빙이라고 생각했다. 티빙과 협력을 생각했다. 오랜 시간동안 관객을 통해서 쌓여 있는 데이터가 있고, 어떤 것을 원하고 어떤 방식을 소비하고 있고 잘 알고 있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평가했다.
양지을 대표는 파라마운트+를 티빙에서 함께 볼 수 있지만 당분간 가격을 인상할 예정은 없다고 했다.
파라마운트+의 국내 콘텐츠 투자 규모와 공개 예정에 대해서도 밝혔다. 양지을 대표는 “‘욘더’라는 첫 작품을 소개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작품이 파라마운트와 티빙을 통해 공개 될 것이다. 400여편의 타이틀이 들어올 것이다. 이후에 4000시간 정도의 컨텐츠가 티빙을 통해 소개 될 것이다”라고 했다. 박이범 대표는 “향후 2년안에 한국 오리지널 컨텐츠를 7편을 선정할 계획이다. 그 중 첫 작품이 ‘욘더’다. 미국이나 글로벌 시장에서 시리즈를 만들고 영화를 공동 제작 할 것이다. 한국 오리지널 양보다 질을 준비 중이다. 한국에서 리메이크 되는 컨텐츠도 기획 중이다”라고 했다.
티빙은 천만 유료 고객 달성하고 싶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양지을 대표는 “티빙이 독보적인 1위 OTT 서비스가 되는 것이 목표고 천만 유료 고객을 달성하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 네이버, JTBC, LG 유플러스, KT 등 전략적 제휴를 공격적으로 하고 있다. 컨텐츠적인 면에서도 노력 중이다”라고 언급했다. 파라마운트 역시 2024년까지 글로벌 가입자 1억명이 목표라고 발표했다.
티빙과 파라마운트의 투자액 규모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양지을 대표는 “작품을 보고 마음에 들면 투자액을 결정한다. 투자 규모는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시장 상황이나 여러 파트너십 진행상황에 따라서 다르다. 정해진것은 없다”라고 밝혔다.
박이범 대표는 ‘헤일로’가 국내에서 어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대표는 “‘헤일로’ 한국에서 많이 해보지 않은 장르. 할리우드 스튜디오가 더 잘 할 수 있다. 게임 IP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야기는 들어봤을 수 있다. 알려져 있는 IP이기 때문에 궁금증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어필했다.
티빙과 파라마운트+는 오늘 최초로 공개된다./pps2014@osen.co.kr